갯벌 저서서식지 환경 특성 파악을 위한 형태적, 퇴적학적 특성분석

Title
갯벌 저서서식지 환경 특성 파악을 위한 형태적, 퇴적학적 특성분석
Author(s)
Jeong, Joo Bong; Woo, Han Jun; Jung, Hoi Soo; Lee, Jun Ho
KIOST Author(s)
Jeong, Joo Bong(정주봉)Woo, Han Jun(우한준)Jung, Hoi Soo(정회수)Lee, Jun-Ho(이준호)
Alternative Author(s)
정주봉; 우한준; 정회수; 이준호
Publication Year
2022-11-18
Abstract
충청남도 태안군에 위치한 연구지역 황도 갯벌의 경우 반폐쇄형인 천수만 안쪽에 위치하며, 육상으로부터 담수 유입이 거의 없고 특히 조수로가 상대적으로 발달하여 조석에너지에 의한 퇴적 메커니즘이 발달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2022년 5월 황도 갯벌지역을 대상으로 향후 드론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표층퇴적물 지질환경 분류를 위해 평균입도, 전용적밀도, 공극률, 함수율, 유기물(TN, TOC, TC) 농도 등을 분석하였으며, 각 샘플링 정점에서 RTK-GPS를 이용하여 지형 특성을 파악하였다. 퇴적물(N=91)의 평균입도 평균값은 4.12(0.55-6.89)Φ(phi) 로 극조립사에서 세립실트까지 다양한 크기의 퇴적물이 분포하였다. 분급도 평균값은 1.96(0.66-4.10)Φ로 중간양호에서 최극불량분급까지 특성을 보였다. 퇴적상은 약역질사((g)sM), 니질사(mS) 및 사질니(sM) 등이 고루 분포하였다. 퇴적물의 구성은 사질평균 58.0(10.5-97.7)%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며, 실트평균 30.7(1.3-67.8)%, 점토평균 10.1(1.0-26.8)% 분포를 보였다. 공극률 평균값의 경우 0.44(0.16-0.56)로 분석되었으며 함수율 평균값은 26.1(7.9-36.6)%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총유기탄소(TOC) 평균값은 0.28(0.01-0.87)%로 나타났으며 총탄소 및 총질소 평균값은 각각 0.65(0.12-1.68)%, 0.08(0.02-0.22)%로 분석되었다. 퇴적물의 물성 데이터는 입도와 상관성이 높은데 평균입도가 작아질수록 전밀도는 같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입자밀도와 공극률에 조절된다. 공극률의 증가는 세립질 퇴적물에서 지화학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퇴적물의 유기성분 흡착능이 높아지는 구조상 이유 때문이다. 이번 2022년 5월 황도 갯벌 현장에서의 지질환경 특성자료를 이용한 데이터셋 사례는 드론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표층퇴적물 지질환경 분류 활용, 갯벌 지형변화 및 퇴적환경 변화의 기초자료 등으로 이용되어 다양한 저서생물 특성파악 같은 융합적 연구 등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43491
Bibliographic Citation
2022년 GeoAI데이터학회 추계학술대회, 2022
Publisher
GeoAI데이터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