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중국해의 하계 일차생산력 및 이산화탄소 플럭스에서 초미소식물플랑크톤의 역할

Title
동중국해의 하계 일차생산력 및 이산화탄소 플럭스에서 초미소식물플랑크톤의 역할
Author(s)
노재훈; 최동한; 이연정; 안성민; 이호원; 현명진; 최중기
KIOST Author(s)
Choi, Dong Han(최동한)Lee, Yeon Jung(이연정)Lee, Ho Won(이호원)Hyun, Myung Jin(현명진)
Alternative Author(s)
노재훈; 최동한; 이연정; 안성민; 이호원; 현명진
Publication Year
2018-10-25
Abstract
동중국해는 대륙붕이 넓게 발달하여 있으며 해류의 순환에 의해 다양한 환경이 교차하여 나타난다. 하계에는 장강저염수와 대마난류가 동중국해의 서쪽과 동쪽해역의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치며 생태계의 구조적 특징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2016년 8월 동중국해의 장강점염수와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은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및 일차생산력 분포와 해양과 대기 경계면에서의 이산화탄소 플럭스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세포 직경이 3um 이하인 초미소식물플랑크톤의 생태계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표층의 엽록소-a 농도는 0.096〜 3.069 의 공간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장강수의 영향을 받은 서쪽해역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일차생산력은 248-2,001 mg C/ m^2/ d 범위의 변화가 나타났으며,공간적으로는 엽록소-a와 유사하게 서쪽의 저염수 영향 해역에서 높고,동쪽 해역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초미소식물플랑크톤의 엽록소 a 농도는 0.052〜 0.896 ug/ l 의 범위와 정점 평균 0.277±0.040 ug/ l 의 농도를 나타냈으며,저염환경에서 높은 엽록소-a 농도가 나타났다. 전체 엽록소-a 농도에서 초미소 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은 55.5±2.74%를 나타내 하계에 중요한 식물플랑크톤 그룹임을 보였으며,해역별 기여율의 변화 특징은 뚜렷하지 않았다. 원핵성 초미소식물플랑크톤 중 Synechococcus가 표층에서 약 1 x
10^9cells/ l, SCM 층에서 2 x 109 cells/ l 의 개체수를 나타내 가장 많은 수로 분포하였다.
Prochlorococcus 속은 서쪽해역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동쪽의 대마난류 영향해역에 분포하였다. 광합성 초미소진핵생물은 남세균에 비해 약 100배 정도 낮은 개체수16년 8월 동중국해의 장강점염수와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은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및 일차생산력 분포와 해양과 대기 경계면에서의 이산화탄소 플럭스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세포 직경이 3um 이하인 초미소식물플랑크톤의 생태계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표층의 엽록소-a 농도는 0.096〜 3.069 의 공간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장강수의 영향을 받은 서쪽해역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일차생산력은 248-2,001 mg C/ m^2/ d 범위의 변화가 나타났으며,공간적으로는 엽록소-a와 유사하게 서쪽의 저염수 영향 해역에서 높고,동쪽 해역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초미소식물플랑크톤의 엽록소 a 농도는 0.052〜 0.896 ug/ l 의 범위와 정점 평균 0.277±0.040 ug/ l 의 농도를 나타냈으며,저염환경에서 높은 엽록소-a 농도가 나타났다. 전체 엽록소-a 농도에서 초미소 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은 55.5±2.74%를 나타내 하계에 중요한 식물플랑크톤 그룹임을 보였으며,해역별 기여율의 변화 특징은 뚜렷하지 않았다. 원핵성 초미소식물플랑크톤 중 Synechococcus가 표층에서 약 1 x
10^9cells/ l, SCM 층에서 2 x 109 cells/ l 의 개체수를 나타내 가장 많은 수로 분포하였다.
Prochlorococcus 속은 서쪽해역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동쪽의 대마난류 영향해역에 분포하였다. 광합성 초미소진핵생물은 남세균에 비해 약 100배 정도 낮은 개체수를 나타냈다. 이들 초미소식물플랑크톤은 저염수의 영향 해역에서 높았으나, 난류수의 영향을 받는 일본 근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개체수를 나타냈다. 장강저염수의 영향을 받는 서쪽 수역의 표층 이산화탄소의 분압이 150∼3240 ppm이하로 대기값 (∼3400 ppm)보다 훨씬 낮은 값을 나타내,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과 일차생산력 증가에 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하계 장강저염수의 확장에 따른 염분 및 영양염 환경 등의 변화는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다양성, 일차생산력 및 군집구조에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대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수 등 다양한 생태계 구조 및 기능적 특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도 나타냈다. 반면 대마난류 영향해역의 생태적 특징은 장감저염수 영향해역과 대비되는 결과를 보여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40681
Bibliographic Citation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pp.1, 2018
Publisher
한국해양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