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과학기지 연구성과의 홍보 및 교육을 위한 콘텐츠

Title
해양과학기지 연구성과의 홍보 및 교육을 위한 콘텐츠
Alternative Title
Contents for Promotion and Education of Research in Ocean Research Station
Author(s)
이수찬; 정진용
KIOST Author(s)
Lee, Su Chan(이수찬)Jeong, Jin Yong(정진용)
Alternative Author(s)
이수찬; 정진용
Publication Year
2020-11-06
Abstract
해양과학기지는 2003년 우리나라 최초의 해양과학기지인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준공을 시작으로, 2009년 신안 가거초, 2014년 옹진 소청초에 해양과학기지가 완공되었다. 해양과학기지는 50년 이상 관측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장기 해양관측이 가능하고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이 자주 지나는 길목에 위치하여 태풍 정보를 사전에 획득할 수 있다. 특히 해양과학기지는 기지 내에 발전 시설, Wet lab, 담수설비, 침실, 식당 등의 시설이 설비되어 연구자들의 현장 체류 연구가 가능하고 이를 지원하고 있다.
해양과학기지의 큰 이점 중 하나는 육지의 영향을 최소화하며 해상에서 현장 연구를 할 수 있는 점이다. 육지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해양환경 및 기상현상, 해양생물 등 을 관측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기상 현상 중 가장 극적인 현상 중 하나인 태풍은 강우, 강풍, 고파랑 등으로 인해 접근의 어려움, 관측장비의 파손 등에 의해 관측에 어려움이 많다. 하지만 해양과학기지는 기지 주변 및 하방을 비추는 CCTV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태풍의 도달을 파악할 수 있으며, 파랑 관측 Radar, AWS 등을 통하여 태풍 시의 파고, 강우 등을 정밀히 관측할 수 있다. 2019년 소청초 과학기지를 통과한 태풍 ‘링링’의 경우, 최대 8.6m를 기록한 파고가 CCTV 영상과 함께 관측되었다. 또한 2020년 태풍 ‘장미’가 이어도 과학기지에서 ‘양자강 저염수 연구’를 위해 체류 연구를 하던 연구원에 의해 좀처럼 보기 힘든 태풍의 구름 모습을 드론을 통해 촬영할 수 있었다. 최근 몇 년간 중국에서 대량 발생하여 제주 및 남해안에 피해를 주는 ‘괭생이 모자반’이 이어도 과학기지에서 육지보다 먼저 발견이 되어왔고, 발생 정보를 통하여 접근 예측 및 피해 대비에 활용이 가능했다. 또한 중국에서 날아오는 ‘미세먼지 띠’가 중국과 인접한 소청초 기지에서 CCTV 영상으로 확인이 가능했다. 이는 국내 내륙에서 발생한 미세먼지의 영향과 관련이 없고, CCTV 촬영 방향이 확실하기 때문에 미세먼지에 대한 중국의 영향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멸종 위기 보호동물로 지정되어 있는 ‘상괭이’의 유영하는 모습도 2019년 소청초 과학기지에서 포착되어 드론을 통해 근접 촬영되었다. 또한 2015년에는 ‘범고래 떼’가 포착되기도 했다.
연구 활동 시 촬영한 영상 및 사진, 도출된 연구 결과 등을 콘텐츠화 하여 영상 플랫폼(Youtube, Facebook)을 통하여 공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해양과학기지에 대해 홍보하고 있다. 콘텐츠를 통해 일반인들의 해양현상 이해도를 향상과 연구개발의 공공성을 높이고 있다. 해양과학기지 홈페이지를 통해 연구과제 내용, 해양과학기지 개요, 인포그래픽, 관련 뉴스 등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관리자 승인을 통하여 관측자료도 열람이 가능하다.
향후 원격 통신 및 무인 관측의 고도화를 통하여 자동 이착륙이 가능한 원격 드론 관측, 수중 글라이더를 통한 수중 촬영, CCTV AI 분석을 통한 실시간 알람 등을 통하여 해양과학기지의 역할과 기능을 극대화하고 해양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으로 국민들에게 기여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 나갈 것이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39562
Bibliographic Citation
2020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pp.275, 2020
Publisher
한국해양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English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