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국내 해수 중 영양염 분석 실험실간 상호비교실험 연구 KCI

Title
2010년 국내 해수 중 영양염 분석 실험실간 상호비교실험 연구
Alternative Title
2010 Inter-laboratory Comparison Study on Nutrient Analysis in Seawater
Author(s)
문초롱; 노태근; 강동진; 강성현; 조성록; 김은수; 이정무; 박은주; 신진선
KIOST Author(s)
Rho, Tae Keun(노태근)Kang, Dong Jin(강동진)
Alternative Author(s)
문초롱; 노태근; 강동진; 강성현; 조성록; 김은수; 이정무; 박은주; 신진선
Publication Year
2015-02
Abstract
2010년에 국내 10개 영양염 분석 실험실을 대상으로 실험실간 상호비교실험이 실시되었다. 균질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영양염 농도가 각기 다른 3종의 멸균해수(Bottle 130, 131, 132)가 이용되었으며, 각 실험실은 아질산염(Nitrite), 질산염(Nitrate), 인산염(Phosphate), 규산염(Silicate)의 항목을 5회이상 반복 분석하여 결과를 회신하였다. 각 실험실의 측정정밀도와 실험실간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 분석결과를 통계처리 하였다. 대부분의 실험실이 모든 분석항목에서 10%이내의 측정정밀도를 보였고, 이상치를 제거한 실험실 간 차이는 모든 분석항목에서 4~63%의 상대표준편차를 보였다. 상대백분율차이는 0.04~2217%였다. 각 실험실에서 분석한 영양염 농도의 차이는 우연오차(random error)보다는 계통오차(systematic error)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균질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시료 131을 이용하여 각 실험실의 분석결과를 보정한 결과, 보정 후 실험실 간 차이는 모든 분석항목에서 상대표준편차와 상대백분율차이가 현저히 향상되었다. 본 상호비교실험결과를 종합하면, 본 실험에 참가한 국내 영양염 분석 실험실 내 측정정밀도는 양호한 편이므로 적절한 기준물질을 사용하여 분석자료를 보정할 경우 실험실 간 차이가 줄어들어 다른 실험실에서 생산된 자료와의 자료 공유에 대한 수월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영양염 시료 분석 시 균질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다른 실험실과의 비교가능성과 소급성을 확립할 것을 제안한다.

An inter-laboratory comparison campaign on nutrient analysis in seawater was carried out in 2010. Sets of three sterilized seawater samples (Bottle 130, 131, 132) which have enough homogeneity and stability were distributed to 10 laboratories. Participants analyzed the nutrients in their own laboratories (nitrite, nitrate, phosphate, and silicate) at least 5 times and reported the results. Statistical treatments were applied to the results to assess the precision for each laboratory and the discrepancy among laboratories. Most laboratories show within 10% of precision in all nutrient results. Degrees of scattering described as discrepancy among laboratories and relative percent difference values were 4~63% and 0.04~2217%, respectively.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the difference among the laboratories may due to the systematic error rather than random error. When the results were corrected by the results of bottle 130 as a reference material, the degrees of scattering and the relative percent difference were improved significantly. As a result, since most participants show satisfactory precision for nutrient analyses, a use of reference materials which have homogeneity and stability was strongly recommended to improve the comparability of nutrient data.
ISSN
1226-2978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540
Bibliographic Citation
바다, v.20, no.1, pp.63 - 70, 2015
Publisher
한국해양학회
Keywords
Nutrients; Nutrient analysis in seawater; Inter-laboratory comparison; Reference Material Received January
Type
Articl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