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설성 저어콘 연대측정을 통한 군산분지 잉어공의 구간별 층서 연구

Title
쇄설성 저어콘 연대측정을 통한 군산분지 잉어공의 구간별 층서 연구
Author(s)
김명덕; 오창환; 유인창; 허식; 김진경
KIOST Author(s)
null허식
Alternative Author(s)
허식
Publication Year
2016-04-08
Abstract
한반도와 중국대륙 사이에 위치한 황해는 산동반도를 기준으로 북쪽으로 발해만을 포함하는 북황해와 남쪽의 남황해로 구분된다. 그중 남황해분지는 지구조적으로 북쪽의 임진-산동 융기대와 남쪽의 우난샤 융기대 사이에 위치하며, 중앙 융기대에 의해 북부와 남부 남황해분지로 나뉜다. 그중 연구지역인 군산분지는 북부 남황해분지에 속하며 소규모 융기대에 의해 4개의 소분지로 구분된다. 군산분지에 대해서 그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군산분지는 육성 퇴적분지이므로 미화석의 발견이 극히 제한되어 정확한 분지의 형성시기를 밝히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군산분지에 존재하는 5개 시추공(해미-1, 까치-1, IIH-1Xa, IIC-1X 및 잉어-2) 중 하나인 잉어-1 시추공에 대하여 쇄설성 저어콘 연대측정을 적용하여 연대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잉어-1공에서 1,960 ft, 3,600 ft, 4,590 ft, 6,230 ft, 7,540 ft, 1,360~11,390 ft 층준의 퇴적물 시료 내 저어콘들을 선별하여 SHRIMP 연대측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하부 염기성 화성암 구간인 11,360~11,390 ft 층준을 제외한 다른 구간들은 모두 사암, 셰일 등의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구간의 연대측정 결과, 최하부 염기성 화산암은 110.8±1.0 Ma의 분출 연대를 지시하였고 퇴적암들의 퇴적시기 상한을 지시하는 저어콘군의 연대는 하부에서 상부로 가며 82.0±1.0 Ma부터 최상부 구간에서 73.38±0.94 Ma까지 분석되었다. 이로서 잉어-1 시추공의 퇴적시기의 상한이 백악기에 해당하며, 중생대에 형성된 퇴적분지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와 남부 남황해분지로 나뉜다. 그중 연구지역인 군산분지는 북부 남황해분지에 속하며 소규모 융기대에 의해 4개의 소분지로 구분된다. 군산분지에 대해서 그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군산분지는 육성 퇴적분지이므로 미화석의 발견이 극히 제한되어 정확한 분지의 형성시기를 밝히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군산분지에 존재하는 5개 시추공(해미-1, 까치-1, IIH-1Xa, IIC-1X 및 잉어-2) 중 하나인 잉어-1 시추공에 대하여 쇄설성 저어콘 연대측정을 적용하여 연대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잉어-1공에서 1,960 ft, 3,600 ft, 4,590 ft, 6,230 ft, 7,540 ft, 1,360~11,390 ft 층준의 퇴적물 시료 내 저어콘들을 선별하여 SHRIMP 연대측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하부 염기성 화성암 구간인 11,360~11,390 ft 층준을 제외한 다른 구간들은 모두 사암, 셰일 등의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구간의 연대측정 결과, 최하부 염기성 화산암은 110.8±1.0 Ma의 분출 연대를 지시하였고 퇴적암들의 퇴적시기 상한을 지시하는 저어콘군의 연대는 하부에서 상부로 가며 82.0±1.0 Ma부터 최상부 구간에서 73.38±0.94 Ma까지 분석되었다. 이로서 잉어-1 시추공의 퇴적시기의 상한이 백악기에 해당하며, 중생대에 형성된 퇴적분지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4912
Bibliographic Citation
2016 한국지구과학회 춘계학술발표회, pp.180, 2016
Publisher
한국지구과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