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및 정기관측을 통한 낙동강 하구역의 해양환경정보시스템 시범구축

Title
실시간 및 정기관측을 통한 낙동강 하구역의 해양환경정보시스템 시범구축
Alternative Title
Pilot Implementation of a Marin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MEIS) using Real Time and Periodic Marine Observation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NRE), South Korea
Author(s)
이준호; 우한준; 정갑식; 권재일
KIOST Author(s)
Lee, Jun-Ho(이준호)Woo, Han Jun(우한준)Kwon, Jae Il(권재일)
Alternative Author(s)
이준호; 우한준; 정갑식; 권재일
Publication Year
2018-08-22
Abstract
한국의 낙동강은 약 510 km에 이르며 자연적 침식과 퇴적, 많은 도시 및 산업단지로부터 다양한 잠재적 오염원에 노출 되어 있다. 서낙동강에 위치한 녹산댐은 1934년에 건설되었으며, 하구역 동쪽의 낙동강 하굿둑는 1987년 유량조절 및 농업용수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완공되었다. 이번 연구는 육지-해양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하구역 울타리섬 주변 기수역 특성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해양환경정보시스템(marin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MEIS) 시범구축에 있다. 2015년 5월부터 해양환경정보시스템(MEIS) 구축을 위해 1초 간격 또는 동영상 형태의 실시간(real-time data) 및 주기적(periodic marine observation) 정기 현장자료(1년에 1-4회)를 취득 중에 있다. 실시간 데이터는 도요등 울타리섬에 자동 기상관측소(automatic weather stations, AWS) 및 동영상(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설치 후 4세대 이동통신망(long-term evolution, LTE)을 이용하여 현재도 데이터를 취득 중에 있다. 2019년 상반기에 을숙도 남부지역 오른쪽에 위치한 을숙도대교 부근에 설치 예정인 모니터링시스템(monitoring system)은 상-중-하층별 염분, 온도, 엽록소 등의 변화 데이터도 추가 될 예정이다. 주기적 데이터는 표층 퇴적상 분포(n=90), 울타리섬 사이 부유물질 유출입 특성(n=4), 측선별 퇴적율 측정(n=29, 3 lines) 및 소환경 분류(n=30, 14 a priori groups) 연구 내용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다양한 환경변화에 따른 기수역 환경변화의 거동을 파악 할 수 있으며, 다양하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후 연구로는 실시간 예측 정보는 환경 민감도 지수(environmental sensitivity in용하기 위해 완공되었다. 이번 연구는 육지-해양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하구역 울타리섬 주변 기수역 특성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해양환경정보시스템(marin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MEIS) 시범구축에 있다. 2015년 5월부터 해양환경정보시스템(MEIS) 구축을 위해 1초 간격 또는 동영상 형태의 실시간(real-time data) 및 주기적(periodic marine observation) 정기 현장자료(1년에 1-4회)를 취득 중에 있다. 실시간 데이터는 도요등 울타리섬에 자동 기상관측소(automatic weather stations, AWS) 및 동영상(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설치 후 4세대 이동통신망(long-term evolution, LTE)을 이용하여 현재도 데이터를 취득 중에 있다. 2019년 상반기에 을숙도 남부지역 오른쪽에 위치한 을숙도대교 부근에 설치 예정인 모니터링시스템(monitoring system)은 상-중-하층별 염분, 온도, 엽록소 등의 변화 데이터도 추가 될 예정이다. 주기적 데이터는 표층 퇴적상 분포(n=90), 울타리섬 사이 부유물질 유출입 특성(n=4), 측선별 퇴적율 측정(n=29, 3 lines) 및 소환경 분류(n=30, 14 a priori groups) 연구 내용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다양한 환경변화에 따른 기수역 환경변화의 거동을 파악 할 수 있으며, 다양하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후 연구로는 실시간 예측 정보는 환경 민감도 지수(environmental sensitivity in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3162
Bibliographic Citation
(사) 한국습지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pp.155 - 156, 2018
Publisher
(사)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