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서남해역 함평만 조하대의 가을철 저서동물 군집구조 KCI OTHER

Title
한국 서남해역 함평만 조하대의 가을철 저서동물 군집구조
Alternative Title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crobenthos in Hampyung Bay during Autumn in 1997, Southwest Coast of Korea
Author(s)
최진우; 임현식
Alternative Author(s)
최진우
Publication Year
2001-07
Abstract
함평만 조하대 저서동물 공간분포와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7년 10월 만 입구에서부터 내만에 이르기까지 격자형으로 41개 조사정점을 설정하고 van Veen grab (표면적 0.1m2 )을 사용하여 각 정점당 3회씩 저서동물을 채취하였다. 함평만은 만 입구역에서 중앙부까지는 muddy sandy gravel 퇴적상이, 만 중앙부로부터 내측에는 gravelly sandy mud 퇴적상 이었으며, 퇴적물내 의 유기탄소량은 0.23∼0.69%(0.44±0.10%) 범위였다. 조사 기간 동안 출현한 총 168종의 저서동물 가운데 다모류가 58종으로서 가장 우점하였으며, 갑각류는 54종이 출현하여 이들 두 분류군이 전체 출현종수의 66.6% 를 차지하였다. 연체동물은 34종이 출현하였으며 기타 분류군은 22종이었다. 평균 밀도는 1,168 개체 /m2 였으며, 연체동물이 가장 우점하여 평균 684 개체/ m2 의 밀도로서 전체 밀도의 58.6% 를 차지하였다. 다모류는 381 개체/ m2 의 밀도로서 전체밀도의 32.6% 를 차지하였다. 갑각류는 90 개체/ m2 가 출현하여 상대적으로 밀도는 낮은 양상이었다. 생체량은 358.65g/m2 이 출현하였는데 이 가운데 연체동물의 생체량이 302.97g/m2 을 차지하여 전체 생체량의 84.5% 에 달하였다. 극피퐁물은 24.20g/m2 으로서 전체생체량의 6.7% , 갑각류는 19.16g/m2 으로서 전체 생체량의 5.4% 를 차지하였다 주요 우점종으로서는 Ruditapes philippinarum이 정점당 평균 520 개체/ m2 ( 44.5% )로서 만 중앙부의 정점들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다모류인 Lumbrineris longifolia는 평균 183 개체/ m2 ( 15.7% )로서 만 안쪽에 위치한 정점들에서 밀도가 높았다. 이매 패류인 Pitar indecoroides는 정점당 평균 56 개체/ m2 의 밀도로서만 입구 정점에서 밀도가 높았다. 또한 고둥류인 Reticunassa festiva 및 다모류인 Heteromastus sp., Praxillella affinis, Clone sp., Tharyx sp.는 대부분의 정점에서 비교적 고른 분포하였다. 집괴분석 결과 함평만 조하대 정점들은 퇴적상에 따라 크게 5개의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즉, 함평만 입구역에서부터 만 중앙까지 연결된 정점군 (정점군 B), 만 중앙부에서 내만까지의 정점군 (정점군 C), 그리고 자갈의 함량이 높은 정점들 (정점군 A)로 크게 3개 정점군으로 나누어지고, 내만 가장 안쪽에 위치한 정점 1과 종밋과 바지락의 치패 출현량이 극히 많은 정점 4와 6이 각각 별도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다.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was studied at forty one stations of Hampyung Bay, southwest coast of Korea. Three replicate sediment samples were taken at each station in October 1997, using a van Veen grab (surface area 0.1m2 ). The types of surface sediment in the sampling area were muddy sandy gravel between bay mouth and bay proper, and gravelly sandy mud between bay proper and inner bay stations. The particulate organic carbon content in the surface sediment was 0.23∼0.69%(0.44±0.10%) . A total of 168 species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is composed of 58 of polychaetes, 54 of crustaceans, 34 of molluscs and 22 of miscellaneous. The former two taxa together were accounted for 66.6% of the total number of species. The mean density was 1,168ind./m2 , comprising 684ind./m2 of molluscs ( 58.6% ), 381ind./m2 of polychaetes ( 32.6% ), and 90ind./m2 of crustaceans ( 13.2% ). The mean biomass was 358.65g/m2 , which is consisted of 302.97g/m2 of molluscs ( 84.5% ), 24.20g/m2 of echinoderms ( 6.7% ), and 19.16g/m2 of crustaceans ( 5.4% ). Major dominant species at the inner stations of the study area was Ruditapes philippinarum with a density of 520ind./m2 ( 44.5% ), and Lumbrineris lontifolia with 183ind./m2 ( 15.7% ), while that at bay mouth stations Pitar indecoroides with 56ind./m2 . Reticunassa festiva, Heteromastus sp., Praxillella affinis, Chone sp. and Tharyx sp. were at from all stations.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bay was classified into five station groups depending on sediment types: Group A, a high gravel content in the sediment; Group B, stations with high mud content from bay mouth to bay proper, Group C, stations with fine and poorly sorted sediment from bay proper to the inner bay.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and biomass is discussed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5877
Bibliographic Citation
한국수산학회지, v.34, no.4, pp.327 - 339, 2001
Keywords
Macrobenthos; Community structure; Hampyung Bay; Korea; Ruditapes philippinarum; Pitar indecoroides
Type
Articl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