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변해역에서 인공 방사성핵종 (137Cs, 239,240Pu) 공간적 분포 특성

Title
한국 주변해역에서 인공 방사성핵종 (137Cs, 239,240Pu) 공간적 분포 특성
Author(s)
Lee, Jaeeun; Lee, Hyun Mi; Shin, Ji Hye; Kim, Intae; Seo, Junhyeong; Kim, Suk Hyun
KIOST Author(s)
Lee, Jaeeun(이재은)Lee, Hyun Mi(이현미)Shin, Ji Hye(신지혜)Kim, Intae(김인태)Seo, Junhyeong(서준형)
Alternative Author(s)
이재은; 이현미; 신지혜; 김인태; 서준형; 김석현
Publication Year
2024-05-24
Abstract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주변 해역 (동해, 황해 및 제주 이남해역)에서 해수 중 인공방사성 핵종 (137Cs, 239,240Pu)의 표층 농도와 연직분포를 조사하였다. 채취된 해수를 방사성 Plutonium (Pu)은 망간 공침법을 이용하였으며, 방사성 Cesium (Cs)은 AMP 공침법으로 전처리 후 HPGe 감마분광법으로 측정하였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동해에서 표층 137Cs 농도는 0.95 - 1.96 mBq kg-1 (평균: 1.48 ± 0.29 mBq kg-1, n=20)로, 표층 0-100m 부근에서 최대 농도를 보이며 그 이하의 깊이에서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239,240Pu의 경우 표층에서 1.28 - 5.70 μ㏃ kg-1 (평균: 2.18 ± 1.28 μ㏃ kg-1, n=8) 범위였다. 239,240Pu의 수직 분포는 표층에서 낮고 수심 1000m를 기점으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부유 입자에 의한 수중 Pu의 흡착과 침강, 심층에서 박테리아 등에 의해 분해되어 재생된 Pu이 입자와 함께 다시 재침강 함으로서 나타나는 결과로 생각된다. 제주 이남해역에서 2021년과 2022년 137Cs 농도는 표층에서 1.33 - 2.53 mBq kg-1 (평균: 1.83 ± 0.34 mBq kg-1, n= 19) 이였으며, 연직 분포는 동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2022년 황해의 표층 137Cs 농도는 0.56 – 1.49 mBq kg-1 (평균: 1.27 ± 0.33 mBq kg-1, n= 7) 범위였다. 세 해역 모두 표층에서 137Cs 평균 농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주변해역에서 해수 중 137Cs 및 239,240Pu에 대한 공간적 분포를 조사하여, 향후 해양환경 방사능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DB)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45684
Bibliographic Citation
2024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2024
Publisher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