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 생존율 및 산소 소비율에 미치는 부유물질의 영향

Title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 생존율 및 산소 소비율에 미치는 부유물질의 영향
Author(s)
Oh, Sung Yong; Kang, Pil Jun; Lee, Geun Su; Park, Hye Mi
KIOST Author(s)
Oh, Sung Yong(오승용)Kang, Pil Jun(강필준)Lee, Geun Su(이근수)Park, Hye Mi(박혜미)
Alternative Author(s)
오승용; 강필준; 이근수; 박혜미
Publication Year
2024-05-09
Abstract
다양한 연안개발사업 등으로 야기된 부유물질의 유입은 연안지역에 일시적인 농도 상승으로 인한 환경변화로 수중의 탁도가 높아져 일차생산력의 감소, 다양한 오염물질의 확산 및 수산생물의 호흡공 또는 어류 아가미에 침적되어 호흡곤란 등 다양한 해양생물자원에 생리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 스트레스 인자로 간주된다. 연안지역에 서식하고 중요한 양식생물인 우렁쉥이(평균 99.0±19.2 g)을 대상으로 부유물질 농도 8가지 조건(즉, 3.3, 3.8, 4.3, 6.3, 8.3, 13.3, 23.3 그리고 33.3 mg/L)에 따른 생존율과 산소 소비율을 조사하였다. 부유물질 농도별 우렁쉥이은 생존율은 각 실험 부유물질 농도별로 조절된 사육수조(250 L) 8개를 준비한 뒤, 각 사육수조 내 물의 유통이 자유로운 직사각형의 플라스틱 바구니 3개를 넣고 각 바구니당 우렁쉥이를 10개체씩 수용하여 1일 간격으로 폐사 개체를 확인하며 총 5일간 수행하였다. 실험 부유물질 농도별 우렁쉥이의 산소 소비율은 자동호흡측정시스템 내 우렁쉥이 15마리를 수용한 뒤 24시간 간격으로 단계적 부유물질 농도 변화(3.3 → 3.8 → 4.3 → 6.3 → 8.3 → 13.3 → 23.3 → 33.3 mg/L)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산소 소비율은 각 부유물질 조건에서 18시간 적응시킨 후 부유물질 농도 변화 직전 6시간 동안 10초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부유물질 농도에 따른 우렁쉥이의 생존율은 86.7%(부유물질 농도 3.3 mg/L), 90.0%(3.8 mg/L), 86.7%(4.3 mg/L), 100.0%(6.3 mg/L), 90.0%(8.3 mg/L), 86.7%(13.3 mg/L), 93.3%(23.3 mg/L) 그리고 86.7%(33.3%)이었지만, 부유물질 농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05). 부유물질 농도에 따른 우렁쉥이의 산소 소비율은 부유물질 농도 3.3 mg/L에서 가장 높았고 3.8~6.3 mg/L의 농도까지는 감소한 후, 8.3~13.3 mg/L 농도에서는 다시 상승하였다가 이후 23.3~33.3 mg/L 농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유물질 3.3, 3.8, 4.3, 6.3, 8.3, 13.3, 23.3 그리고 33.3 mg/L에서 우렁쉥이의 평균 산소 소비율은 각각 20.1, 17.3, 13.9, 14.7, 17.7, 17.4, 14.7 그리고 15.7 mg O2 kg-1 hr-1 이었으며, 가장 낮은 부유물질 농도 3.3 mg/L에서 가장 높은 평균 산소 소비율을 보였으며, 3.3 > 3.8 > 4.3 < 6.3 < 8.3 > 13.3 > 23.3 > 33.3 mg/L의 관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3.3∼33.3 mg/L 범위의 부유물질 농도는 우렁쉥이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부유물질의 농도 증가는 산소 소비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우렁쉥이의 안정적인 서식 또는 양식환경 조성 및 사육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과제(PG51030)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45555
Bibliographic Citation
2024년도 한국수산과학회 학술대회, 2024
Publisher
한국수산과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