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공간정보학

Title
해양공간정보학
Author(s)
김종규; 김정현; 여정윤; 정주봉
KIOST Author(s)
Jeong, Joo Bong(정주봉)
Alternative Author(s)
정주봉
Publisher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Abstract
지금 세계는 기존의 선점식 해양공간 이용과 개발에서 벗어나 과학적·통합적·참여적인 해양공간 관리 기반을 확보함에 중점을 두는 이른바, “해양공간계획(MSP : Marine Spatial Planning)의 수립과 해양공간계획체제를 구축함에 있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해양공간계획법의 제정(2018)과 제1차 해양공간기본계획수립(2019~2028), 그리고 제3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수립(2021~2030)을 통해 ‘상생과 포용의 바다, 경제와 환경이 공존하는 바다’, 비전과, 해양산업·경제발전 기여, 해양생태계 가치에 기반을 둔 지속가능한 해양공간 이용, 그리고 지자체 책임관리를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2022년까지 시·도 단위를 기본으로 EEZ 포함 전 해역에 대한 개별 해양공간계획을 수립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해양공간을 둘러싼 갈등의 사전예방과 이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 무분별한 해양개발 방지 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해양이용 수요로서 해상풍력발전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발전사업 허가와 해역관리의 조율, 수산업과 해양환경 영향, 이해관계자 갈등 등 정책 대응이 시급한 실정이다.
어업분야에 있어 수산업의 주요 활동 영역인 연근해 해양공간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 및 합리적 개발과 이용이 불가피해졌으며 어로어업·양식어업 등 수산분야는 타 분야와 해양공간을 함께 이용하는 대표적인 해양활동으로써 타 분야보다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해양공간과 자원의 통합관리를 위한 평가 및 분석 기술의 필요성에 따라 해양공간 동적관리체제(Dynamic ocean management, 이하 동적관리), 다목적 해양공간이용(multi-use, co-exist) 기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복잡하고 다층적인 해양환경(해양서식지, 해양이용 영향 및 변화 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디지털 트윈(Digital twin)기술, 인공지능(AI) 분석체계(머신러닝, 딥러닝 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해양공간계획체제 구축에 발맞추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면서 성장하고 있는 ‘자유 오픈 소스 지리정보 시스템’인 QGIS는 이미 타 공간정보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OSGeo(Open Source GeoSpatial)한국어지부와 한국국토정보공사(LX) 공간정보아카데미를 포함한 다양한 단체 및 교육기관과 개인들의 노력과 봉사로 점점 사용자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 동안 공간정보 운용 소프트웨어는 대부분 유료이며 고가이어서 학생들을 포함한 일반인들의 접근이 어려웠지만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QGIS를 활용함으로써 앞으로는 많은 해양인들이 함께 고민하며 해결방안을 공유해 나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도서는 기본적인 해양공간정보의 이해를 시작으로 QGIS설치 및 사용자 구성, 속성자료의 성질과 활용 예시, 해양공간자료의 분석, 그리고 다양한 주제도 작성과 효율적인 아틀라스 지도 작성법에 대한 내용들을 수록하였다. 부록으로 해양공간계획법, 수치해도 인덱스, 그리고 수치해도 레이어 정보가 포함된 S-57 객체 및 속성정보에 대한 내용을 첨부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족함이 많은 도서이지만, 본 도서가 앞으로 출간되어질 해양관련 QGIS 서적들의 출판과 해양공간정보학 발전에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감히 기대해 본다.

2021년 1월 신축년(辛丑年) 희망찬 새해의 시작과 함께
공저자 일동
Table Of Contents
제1장. 해양공간정보의 이해 1
1. 해양공간정보 1
2. 해양공간계획 4
3. 해양공간계획평가 전문기관 22

제2장. QGIS란? 24
1. QGIS 개요 24
2. QGIS 다운로드 및 설치 28

제3장. 사용자 구성 및 좌표계 설정 30
1. QGIS 사용자 구성 살펴보기 30
2. 배경지도 설정 34
3. 자료 입력 40
4. 좌표의 이해 48

제4장. 데이터베이스 관리 68
1. 속성자료 68
2. 속성자료의 공간화 77
3. 지오메트리 추출 80
4. 데이터 질의 84

제5장. 해양공간자료의 분석 93
1. 레이어의 생성 93
2. 피쳐의 편집 99
3. 공간데이터 분석 103
4. 지오레퍼런스(Georeference) 107
5. 래스터 데이터 공간분석(보간법) 120
6. 래스터 지형분석 127
7. 해양공간분석 실습(중첩분석을 통한 적지확인) 137
8. 해양공간분석 실습(어획량 밀집도) 148

제6장. 도면 제작 158
1. 주제도 출력 158
2. 지도 아틀라스 173

참고문헌 184

부 록 185
☞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185
☞ 수치해도 인덱스(SHP) 199
☞ S-57 객체 및 속성정보 210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42312
Bibliographic Citation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60 p, 2021
Type
Book
Language
KOR
Total Pages
260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