괭이갈매기 알에서의 과불화화합물 농도와 오염 특성

Title
괭이갈매기 알에서의 과불화화합물 농도와 오염 특성
Alternative Title
Levels and profiles of perfluorinated alkyl acids in eggs of Black-tailed Gull from South Korea
Author(s)
장미; 홍상희; 한기명; 조유나
KIOST Author(s)
Jang, Mi(장미)Hong, Sang Hee(홍상희)Han, Gi Myung(한기명)Cho, You Na(조유나)
Alternative Author(s)
장미; 홍상희; 한기명; 조유나
Publication Year
2020-11-19
Abstract
과불화화합물(Perfluoroalkyl acids, PFAAs)은 우수한 물성으로 인해 1950년대부터 다양한 산업 및 상업제품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과불화화합물 중 특히 PFCA(perfluorinated carboxylic)과 PFSA(perfluorinated sulfonic)는 전세계 자연 환경 중에서 검출되고 있으며, PFOS(perfluorooctane sulfonate)는 지속성, 생물축적성, 독성, 장거리 이동 특성으로 인해 스톡홀름 협약의 지속성유기오염물질(POPs)로 등록되었다. 바닷새는 환경 중 오염물질의 영향평가를 위한 생물지표종으로 이용 될 수 있지만, 우리나라 바닷새에서 과불화화합물 분석한 사례 극히 드물다. 이번연구에서는 남해안(경남 홍도), 동해안(경북 독도), 서해안(인천 서만도)에서 2015년에서 2019년까지 매년 채취한 괭이갈매기 알 시료에 대해 과불화화합물을 분석하였다. 괭이갈매기 알 내용물 내 과불화화합물 분석은 Reiner et al. (2011)에서 보고한 분석법을 따랐다. 균질화한 알 내용물 약 1-2g을 메탄올(0.01 mol/L KOH)을 사용해 추출 한 후 SPE 컬럼에 통과시켜 방해물질을 제거 하였다. 전처리 한 시료는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onnected to a triple-quadrupole mass spectrometer (TQ5500; SCIEX)를 사용하여 정성·정량 분석 하였다. 총 69개 알 시료 중 과불화화합물 PFHxA, PFHpA, PFOA, PFNA, PFDA, PFUdA, PFDoA, PFTrDA, PFTeDA, PFODA, PFHxS, PFOS의 농도(단위:ng/g wet weight)는 각각 ND-0.49, ND-3.3, 0.12-120, 0.06-29, 0.38-20, 1.1-32, 0.51-4.3, 1.16-26, 0.43-3.2, 0.02-0.79, ND-27, ND-106의 범위를 보였다. 홍도와 서만도에서는 PFOS가 월등하게 높은 농도를 보인 반면, 독도에서는 PFUnA가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서만도 시료의 PFOA 농도는 다른 두 지역에 비해 약 13배 높은 농도 수준을 보였다. 홍도와 독도, 서만도 PFAAs 농도(중간값, ng/g wet wt.)는 각각 48, 34, 77 이였고, 서만도에서 1.6~2.3배 높은 농도수준을 나타냈다. 이는 다른 두 지역보다 대도시에 인접해 있는 서만도에서 PFAAs의 오염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41638
Bibliographic Citation
제65회 한국분석과학회 추계 학술대회, pp.180, 2020
Publisher
분석과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