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전선역과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부유성 섬모충류 군집특성

Title
남해 전선역과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부유성 섬모충류 군집특성
Author(s)
최정민; 노재훈; 김영옥
KIOST Author(s)
Choi, Jung Min(최정민)Kim, Young Ok(김영옥)
Alternative Author(s)
최정민; 노재훈; 김영옥
Publication Year
2017-04-19
Abstract
섬모충류는 해양 미세먹이망 내 일차생산자에서 상위 포식자로 에너지와 영양물질을 전달하는 중간매개자로 이들의 분포는 수온·염분 및 엽록소 농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전선역은 일차생산력이 높아 섬모충류 군집 발달의 잠재수역이다. 따라서 2016년 춘계부터 2017년 동계까지 남해 전선역 계절조사를 수행하였고, 2016년 하계에는 남해 전선역과 동중국해를 포함한 광역조사를 실시하였다. 하계 광역조사결과 C line 전선 (C5) SCM층에서 연안종 Tintinnopsis beroidea의 고밀도가 관찰되어 섬모충과 엽록소 분포가 일치함을 보였다. 반면, J1과 F1의 고온·저염 표층수에서 20 μm 이하의 무각소모류가 높은 개체수를 보였으며 이는 박테리아의 고밀도 분포와 일치하였다. 동중국해 수역의 경우 탁도가 높은 저층부에서 Tintinnidium primitivum의 분포가 발달되어 있었다. 남해 전선역 B line에서 섬모충플랑크톤의 분포는 춘계와 하계의 생물량(탄소량)이 추계와 동계에 비해 10배 높았다. 특히 춘계에 B4-B6 상층부 수역에 높은 생물량이 관찰되었고 이 분포는 형광색소 분포와 일치하고 있었다. 하계의 경우 B3 수심 10m에서 유종섬모충 Favella/Metacylis sp.의 집약적 출현이 주목되었으며 동일 수괴에 극소형식물플랑크톤의 높은 밀도가 관측되었다. 즉, 남해 전선역 섬모충플랑크톤은 이들의 먹이생물에 의존적인 분포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따라서 전선역내 미세먹이망의 에너지전환 특성은 섬모충플랑크톤 군집구조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석되어야 한다.춘계부터 2017년 동계까지 남해 전선역 계절조사를 수행하였고, 2016년 하계에는 남해 전선역과 동중국해를 포함한 광역조사를 실시하였다. 하계 광역조사결과 C line 전선 (C5) SCM층에서 연안종 Tintinnopsis beroidea의 고밀도가 관찰되어 섬모충과 엽록소 분포가 일치함을 보였다. 반면, J1과 F1의 고온·저염 표층수에서 20 μm 이하의 무각소모류가 높은 개체수를 보였으며 이는 박테리아의 고밀도 분포와 일치하였다. 동중국해 수역의 경우 탁도가 높은 저층부에서 Tintinnidium primitivum의 분포가 발달되어 있었다. 남해 전선역 B line에서 섬모충플랑크톤의 분포는 춘계와 하계의 생물량(탄소량)이 추계와 동계에 비해 10배 높았다. 특히 춘계에 B4-B6 상층부 수역에 높은 생물량이 관찰되었고 이 분포는 형광색소 분포와 일치하고 있었다. 하계의 경우 B3 수심 10m에서 유종섬모충 Favella/Metacylis sp.의 집약적 출현이 주목되었으며 동일 수괴에 극소형식물플랑크톤의 높은 밀도가 관측되었다. 즉, 남해 전선역 섬모충플랑크톤은 이들의 먹이생물에 의존적인 분포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따라서 전선역내 미세먹이망의 에너지전환 특성은 섬모충플랑크톤 군집구조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40784
Bibliographic Citation
한국해양학회, pp.108, 2017
Publisher
한국해양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