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미세조류의 21종의 지방산 함량분석

Title
해양 미세조류의 21종의 지방산 함량분석
Alternative Title
Contents of fatty acid from 21 kinds of marine phytoplanktons
Author(s)
김소정; 윤희영; 오로라; 최은석; 이택견
KIOST Author(s)
Lee, Taek Kyun(이택견)
Alternative Author(s)
김소정; 윤희영; 오로라; 최은석; 이택견
Publication Year
2004-05-14
Abstract
해양 미세조류는 운동성이 적은 부유생물로서 수중에서 태양 에너지에 의하여 광합성을 하고, 무기물에서 유기물을 생산하는 1차 생산자로 중요하다. 최근에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는 해양 미세조류를 활용한 algal biotechnology 연구는 어패류 생산을 위한 먹이생물로써 뿐만 아니라 의약품 소재 등으로 그 연구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먹이생물 및 식품소재로써의 해양미세조류 함유 지방산조성 연구는 과거 수 십 년간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어류로부터 추출되는 고도불포화지방산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인하여 식품소재로써의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와편모조류 7종(Gymnodinium sanguineum, Prorocentrum dentatum,  Alexandrium sp., Prorocentrum micans, Prorocentrum mininum, Scrippsiella trochoidea, Hetrocapsa triquetra), 규조류 6종(Thalassiosir weissflogii, Chaetoceros sp., Chaetoceros affinis, Chaetoceros didymus, Phaeodactyrum tricornutum, Skeletonema costatum), 유글레나조류 1종(Eutreptiella gymnastica), 녹조류 4종(Chlamydomonas sp., Chlorella ellipsoidea, Chlorella schroeteri, Nannochloris oculata), 착편모조류 2종(Palova gyrans, Isocrysis galbana), 침편모조류 1종(Heterosigma akashiwo) 등 총 21종을 배양하여 (pH 7.8 ± 0.2, Temperature 20 ± 1 ℃, photon flux density, 80 ± 20 umolm-2s-1 , salinity 3.4 ± 2 ‰) exponential phase 세포를 모아 지방산 함량을 각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미세조류 종에 따라 지방산함량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와편모조류가 불포화 지방산 양이 많았으며, 녹조류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PUFA은 P. tricornutum, I. galbana 순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P. tricornutum은 EPA의 함량이 높았고, Alexandrium sp.을 제외한 와편모조류와 I. galbana는 DHA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 총 지방산 농도에 비례하여 고도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31868
Bibliographic Citation
한국해양학회 학술발표대회 요약집, pp.338, 2004
Publisher
한국해양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