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주변 해역의 모니터링을 위한 위성자료의 활용

Title
새만금 주변 해역의 모니터링을 위한 위성자료의 활용
Alternative Title
Application of satellite data for monitoring around Saemangeum area
Author(s)
유주형; 문정언; 민지은; 안유환; 이석
KIOST Author(s)
Ryu, Joo Hyung(유주형)Moon, Jeong Eon(문정언)Lee, Seok(이석)
Alternative Author(s)
유주형; 문정언; 민지은; 안유환; 이석
Publication Year
2005-11-03
Abstract
새만금 방조제 건설로 인하여 연안선과 해저 지형이 변화되면 해황과 해수유동이 변하며, 이러한 물리환경의 변화는 다시 수질, 생태 및 퇴적환경의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수십 미터 공간해상도를 갖는 육상관측 위성을 이용하여 새만금 방조제 공사 전부터 진행과정에 따른 해양환경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새만금 사업에 따른 해양환경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변화를 예측하는데도 활용될 수 있다. 1986년부터 2005년 사이에 얻어진 Landsat TM/ETM+ 영상에 대하여 0.3 픽셀 이내의 오차로 지형보정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대기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영상과 스펙트럴 라이브러리에 기초한 SSMM (Spectral Shape Matching Method)에 의하여 대기 신호의 영향을 제거하였다. 전처리된 자료들을 이용하여 방조제 건설 전과 진행 과정에 따른 새만금 주변 해역의 표층수온과 부유퇴적물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또한 새만금 주변인 금강하구와 곰소만 조간대 지역의 waterline들을 추출하여 조위를 고려하여 조간대의 면적을 비교함으로서 새만금 방조제 공사에 따른 조간대의 침식/퇴적 지역을 파악하고 면적을 계산하였다. 열적외선 밴드에 대해 미국 NASA에서 제공한 공식을 적용하여 계산된 영상과 위도, 군산외항 그리고 장항 등의 검조소에서 9시경에 봉상온도계를 이용하여 실측된 온도와 비교해본 결과 대부분의 자료들이 1°C 미만의 차이를 보였다. 새만금 공사 전후의 표층 수온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계절적으로 비슷한 시기에 얻어진 1991년 2월 8일과 2002년 2월 14일 위성자료의 표층 온도를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상당히 유사하게 약 2 °C에서 8 °C의 분포를 보였으나, 방조제 주변 지역은 지역적으로 매우 큰 변화가 나타났다. 새만금 공사 전에는 연안 표층 수온의 분포가 동심원상으로 퍼져서 고르게 분포한 반면 방조제 건설이 많이 진척된 2002년 자료에서는 고군산 군도를 중심으로 남쪽과 북쪽의 온도가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표층 부유퇴적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새만금 주변 해역에서 얻어진 해수광학자료와 해수성분자료들을 이용하여 경험적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부유물질의 농도는 0.1에서 100 g/m3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조위와 바람 등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새만금 방조제 공사 진척 상황에 따른 변화를 감지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시계열 부유퇴적물의 변&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31240
Bibliographic Citation
추계해양학회, pp.121, 2005
Publisher
한국해양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