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공충의 δ18O 및 Mg/Ca 분석에 의한 제4기 동해의 고해양
-
Title
- 유공충의 δ18O 및 Mg/Ca 분석에 의한 제4기 동해의 고해양
-
Alternative Title
- Quaternary paleoceanographic change by δ18O and Mg/Ca result in the East Sea
-
Author(s)
- J.M.Kim; 석봉출; 현상민; K.S.Woo; M. Shimamura
- KIOST Author(s)
- Hyun, Sang Min(현상민)
-
Publication Year
- 2006-05-15
-
Abstract
- 동해의 한국대지(38°00.043'N, 131°27.937'E; 수심 758.7m) 코아 퇴적물(M04-PC1A; 코아 길이 587cm)에서 산출된 부유성 유공충 Neogloboquadrina pachyderma와 Globigerina bulloides의 산소·탄소 동위원소(δ18O, δ13C) 및 Globigerina bulloides의 미량원소(Mg/Ca)를 측정하였다. 제4기 동해의 표층수온(Mg/Ca-based SST, sea surface temperature)은 3.2∼15.5℃의 범위를 나타낸다. 이 SST 변동곡선은 유공충의 δ18O 및 초미화석의 알케논(alkenone)의 변동곡선과 거의 일치한다. 중층수종인 N. pachyderma의 δ18O값은 코아 240cm(3.9‰)와 390cm (3.7‰) 층준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지만, 표층수종인 G. bulloides의 Mg/Ca는 코아 251cm(3.2℃)와 411cm(5.5℃) 층준에서 최저수온을 나타낸다. 이것은 제4기 후기의 빙하기에 접어들면서 동해의 해수온도가 표층수부터 낮아지기 시작하며 최저수온을 기록하지만, 중층수는 약간의 시간적 간격을 두고 서서히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부유성 유공충의 안정 동위원소와 미량원소 측정결과는 제4기 동해의 고해양 변화 연구에 중요한 proxy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URI
-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31051
-
Bibliographic Citation
- 한국해양과학기술 협의회 공동 학술대회, pp.327, 2006
-
Publisher
- 한국해양과학기술 협의회
-
Type
- Conference
-
Language
- Korean
-
Publisher
- 한국해양과학기술 협의회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