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하구역에서 섬모충류의 생체량 및 이차생산력 변동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홍현표 -
dc.contributor.author 송태윤 -
dc.contributor.author 유정규 -
dc.contributor.author 김경태 -
dc.date.accessioned 2020-07-17T01:32:05Z -
dc.date.available 2020-07-17T01:32:05Z -
dc.date.created 2020-02-11 -
dc.date.issued 2008-05-29 -
dc.identifier.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30000 -
dc.description.abstract 한강하구역에 위치한 세 개의 수로(석모수로, 염하수로, 장봉수로)에서 수온은 뚜렷한 계절변동을 보여주었으며, 염분은 한강에 가장 인접한 염하수로에서 가장 큰 변동을 나타내었다. 현존량은 염하수로(YC)에서 0~1,013cells/l, 석모수로(SC)에서 176~3,111cells/l, 장봉수로(JC)에서 450~2,837cells/l의 범위로 동계에 가장 낮았고 하계에 가장 높았다. 생체량은 YC에서 0~3,188ngC/l, SC에서 330~13,887 ngC/l, JC에서 1,734~23,210ngC/l의 범위였다. 성장률(Montagnes et al. 1988)과 생체량을 통해 구해진 생산력은 YC에서 0.00~10.71mgC/m-3/d-1, SC에서 0.07~42.24mgC/m-3/d-1, JC에서 0.30~54.57 mgC/m-3/d-1로 현존량, 생체량, 생산력에서 YC에서 가장 낮고 JC에서 가장 높았다. 현존량, 생체량은 모두 엽록소 a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나 세 개의 수로에서 유사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어 세 수로의 차이를 나타내는 원인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가장 뚜렷한 차이는 SPM의 농도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섬모충류의 대부분이 여과식자이기 때문에 SPM에 의한 섭이 장애로 성장률이 제한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dc.description.uri 2 -
dc.language Korean -
dc.publisher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
dc.relation.isPartOf 2008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
dc.title 한강하구역에서 섬모충류의 생체량 및 이차생산력 변동 -
dc.title.alternative Variation of ciliate biomass and second productivity in Han river estuary -
dc.type Conference -
dc.citation.conferencePlace KO -
dc.citation.endPage 412 -
dc.citation.startPage 412 -
dc.citation.title 2008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김경태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2008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pp.412 -
dc.description.journalClass 2 -
Appears in Collections:
Marine Resources &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 2. Conference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