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도비 방법을 이용한 갯벌 내 저서생물 분포 가능성 예측분석

Title
빈도비 방법을 이용한 갯벌 내 저서생물 분포 가능성 예측분석
Author(s)
이사로; 유주형; 구본주; 최종국; 엄진아; 오현주
KIOST Author(s)
Ryu, Joo Hyung(유주형)Koo, Bon Joo(구본주)Choi, Jong Kuk(최종국)
Alternative Author(s)
유주형; 구본주; 최종국; 엄진아
Publication Year
2010-04-28
Abstract
천수만 황도 갯벌에서의 저서생물 분포와 퇴적환경 간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갯벌 내 저서생물의 공간적 분포 예측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공간자료 분석을 통해 갯벌 저서생물 분포에 관련된 요인자료를 구축하였으며, 갯벌 DEM, 경사도, aspect, 조류로부터 수평거리, 조류로 밀도도, 퇴적상 분포도, IKONOS 영상과 KOMPSAT-2 영상의 열적외선 밴드 DN 값 및 갯벌 노출시간 등이다. 2001년 2월에 획득된 공간해상도 4 m 급의 고해상도 위성인 IKONOS 영상과 2004년 3월에 수행된 현장조사를 통해 얻어진 입도 자료 분석을 통해 갯벌의 표층 퇴적상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연구지역의 퇴적상은 펄 퇴적상(mud flat), 혼합 퇴적상(mixed flat), 모래 퇴적상(sand flat) 및 사주(sand shoal)로 분류되었다. 또한 Landsat ETM+ 영상으로부터 해안선 추출 방법에 의해 갯벌 DEM을 작성하였으며, 이로부터 GIS 분석을 통해 경사도와 aspect 자료 및 갯벌 노출시간 자료를 구축하였다. IKONOS 영상으로부터 조류로를 추출하고, 이로부터 조류로로부터 수평거리와 조류로 밀도도 자료를 구축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취득된 자료 중 Scopimera globosa (엽낭게), Glauconome chinensis (갈색새알조개) 및 Ceratonereis erythraeensis (붉은집참갯지렁이) 등 3개 저서생물 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각 요인별로 빈도비 모델 (frequency ratio model)을 적용하여 저서생물 분포와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등급별 가중치를 계산하였다. 가중치가 부여된 각 요인자료를 대상으로 중첩분석 (overlay analysis)을 실시하여, 각 저서생물 상 별로 부존가능지수 (Object Potential Index, OPI)를 구하고 그 결과 연구지역 내 저서생물 분포 예측도를 작성하였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9024
Bibliographic Citation
2010년 춘계 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pp.208, 2010
Publisher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대한지질학회, 한국석유지질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