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해 상왕등도 주변 해저 표층에서 발견된 매머드의 어금니

Title
황해 상왕등도 주변 해저 표층에서 발견된 매머드의 어금니
Alternative Title
Mamoth molar from the seafloor deposits near Sangwangdeung Island, Yellow Sea
Author(s)
김진경; 김수정; 유슬찬; 유해수; 임종덕; 이상훈
KIOST Author(s)
Lee, Sang Hoon(이상훈)
Alternative Author(s)
김진경; 김수정; 유해수; 이상훈
Publication Year
2012-10-25
Abstract
황해 상왕등도 서쪽 수심 10~30 m 해역의 표층퇴적물에서 매머드의 어금니화석 두 점이 발견되었다. 어금니화석은 길이 20 cm, 폭 8 cm, 두께 1 cm 정도의 납작하고 길쭉한 한개, 또는두개의 판이 겹쳐져 있는 형태이며, 각 판은 바깥쪽의 에나멜층과 안쪽의 상아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층은 모두 수산화인회석(hydroxylapatite)으로 이루어져 있고, 미세조직이 잘 보존되어 있어 시료가 매몰 후에 속성작용을 받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어금니화석의 생성시기를 파악하기 위하여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을 시도하였으나, 시료 내에 콜라겐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이를 추출하여 연대를 측정하는 데에 실패하였다. 발견된 매머드 화석시료는 해저 표층퇴적물에 있던 것을 저인망그물로 획득하였기 때문에, 화석의 정확한 산출지를 밝히기 어려운 상태이다. 화석시료에 대한 정확한 기원과 종 분석, 연대 분석 등이 수행된다면, 향후 이를이용한 플라이스토세 후기 매머드의 분포 및 아시아에서 매머드의 이주경로 등을 밝히는 데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쪽의 상아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층은 모두 수산화인회석(hydroxylapatite)으로 이루어져 있고, 미세조직이 잘 보존되어 있어 시료가 매몰 후에 속성작용을 받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어금니화석의 생성시기를 파악하기 위하여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을 시도하였으나, 시료 내에 콜라겐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이를 추출하여 연대를 측정하는 데에 실패하였다. 발견된 매머드 화석시료는 해저 표층퇴적물에 있던 것을 저인망그물로 획득하였기 때문에, 화석의 정확한 산출지를 밝히기 어려운 상태이다. 화석시료에 대한 정확한 기원과 종 분석, 연대 분석 등이 수행된다면, 향후 이를이용한 플라이스토세 후기 매머드의 분포 및 아시아에서 매머드의 이주경로 등을 밝히는 데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7499
Bibliographic Citation
2012 추계지질과학연합 학술대회, pp.122, 2012
Publisher
대한지질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