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논분화구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한반도 주변의 고기후 변화와 퇴적물 기원 및 식생변화에 대한 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현상민 -
dc.contributor.author 송바름 -
dc.contributor.author 김송이 -
dc.contributor.author 남승일 -
dc.contributor.author 장세원 -
dc.contributor.author 김길영 -
dc.contributor.author 윤석훈 -
dc.date.accessioned 2020-07-15T23:53:46Z -
dc.date.available 2020-07-15T23:53:46Z -
dc.date.created 2020-02-11 -
dc.date.issued 2015-09-18 -
dc.identifier.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5298 -
dc.description.abstract 과거 약 3.5만년 간 한반도 주변지역에 대한 고기후, 식생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한반도 제주도 소재의 하논분화구에서 퇴적물을 채취했다. 약 12.5미터의 주상시료 퇴적물에 대한 방사성 탄소연대를 측정한 결과 주상시료 최하부는 약 3.5만년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무기원소(주요원소, 미량원소 및 희토류원소) 및 유기원소(탄소, 질소 동위원소), n-alkanes의 거동을 조사한 결과 전 구간 퇴적상은 뚜렷하게 3개의 Unit으로 구별되었다. 특히 15ka는 가장 뚜렷하게 유·무기 지화학원소의 거동이 달라지고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Fig 1~3). 이 기간 동안 무기원소(주요원소, 미량원소 및 희토류원소) 및 유기원소(탄소, 질소 동위원소), n-alkanes의 거동을 조사한 결과 전 구간 퇴적상은 뚜렷하게 3개의 Unit으로 구별되었다. 특히 15ka는 가장 뚜렷하게 유·무기 지화학원소의 거동이 달라지고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Fig 1~3). -
dc.description.uri 2 -
dc.language Korean -
dc.publisher 제4기학회 -
dc.relation.isPartOf 제4기학회 -
dc.title 하논분화구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한반도 주변의 고기후 변화와 퇴적물 기원 및 식생변화에 대한 고찰 -
dc.title.alternative Geochemical character on Hanon Maar sediment: implicaiton on paleoclimate and paleovegetation around Korean peninsula -
dc.type Conference -
dc.citation.conferencePlace KO -
dc.citation.endPage 2 -
dc.citation.startPage 1 -
dc.citation.title 제4기학회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현상민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김송이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제4기학회, pp.1 - 2 -
dc.description.journalClass 2 -
Appears in Collections:
Marine Resources &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 2. Conference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