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S 분석을 통한 통영 연안 표층 퇴적물에서 식물플랑크톤 포자의 분포: 와편모조류 시스트를 중심으로

Title
NGS 분석을 통한 통영 연안 표층 퇴적물에서 식물플랑크톤 포자의 분포: 와편모조류 시스트를 중심으로
Author(s)
김현정; 옥진희; 정승원
KIOST Author(s)
Kim, Hyun Jung(김현정)Jung, Seung Won(정승원)
Alternative Author(s)
김현정; 옥진희; 정승원
Publication Year
2015-10-22
Abstract
통영 연안해역의 표층 퇴적물에서 와편모조류 시스트의 분포를 확인하고자 2013년 12월(비적조 발생시기)과 2014년 9월(적조 발생시기)에 44~52개 정점에서 표층 퇴적물을 채집하였다. 이렇게 채집된 퇴적물은 내측, 중간, 외측으로 그룹지어서 시료를 확보하였다. 확보된 시료는 1oC 암소에서 6개월 이상 보관 후 DNA debris 제거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genomic DNA를 추출 후, NGS(Mi-SeQ)분석을 통한 표층 퇴적물의 식물플랑크톤 시스트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MiSeQ 분석 결과, 총 13,141,208~34,212,216의 염기서열이 분석되었으며 read counts는 31,575~81,818 이었다. 또한 Operational Taxonomic Units(OTUs)는 총 399의 개체의 유전자에서 5,504~11,159가 검출되었다. 이중 SAR(Stramenipiles-Alveolata-Rhizaria)그룹내의 OTUs의 reads 수는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평균 6,420 (4,403~9,289)와 8,316 (6,537~10,651)로 2014년에 더 높게 나타났다. 와편모조류 시스트는 2013년에 평균 3,600과 2014년에 평균 3,070개의 OTUs reads수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SAR 그룹내에서 전체 56.07%와 36.92%로 2014년이 낮은 빈도를 보였다. 출현한 와편모조류 시스트는 총 51분류군이 분석되었으며(2013년 45분류군, 2014년 46분류군) 이중 주요 출현종은 Aduncusdinium glandulum, Alexandrium andersonii, A. pacificum, Pentapharsodinium tyrrhenicum, Stoeckeria algicidal, Woloszynskia cinct Gonyaulax spinifera, Gymnodinium sp.로 조사시기 및 지역에 상관없이 유사하였다. 따라서, 통영연안의 와편모조류 시스트의 분포는 2014년에 비해 2013년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포자의 발아 또는 포자의 생성, 가입에 따른 차이인지 등의 였다. 확보된 시료는 1oC 암소에서 6개월 이상 보관 후 DNA debris 제거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genomic DNA를 추출 후, NGS(Mi-SeQ)분석을 통한 표층 퇴적물의 식물플랑크톤 시스트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MiSeQ 분석 결과, 총 13,141,208~34,212,216의 염기서열이 분석되었으며 read counts는 31,575~81,818 이었다. 또한 Operational Taxonomic Units(OTUs)는 총 399의 개체의 유전자에서 5,504~11,159가 검출되었다. 이중 SAR(Stramenipiles-Alveolata-Rhizaria)그룹내의 OTUs의 reads 수는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평균 6,420 (4,403~9,289)와 8,316 (6,537~10,651)로 2014년에 더 높게 나타났다. 와편모조류 시스트는 2013년에 평균 3,600과 2014년에 평균 3,070개의 OTUs reads수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SAR 그룹내에서 전체 56.07%와 36.92%로 2014년이 낮은 빈도를 보였다. 출현한 와편모조류 시스트는 총 51분류군이 분석되었으며(2013년 45분류군, 2014년 46분류군) 이중 주요 출현종은 Aduncusdinium glandulum, Alexandrium andersonii, A. pacificum, Pentapharsodinium tyrrhenicum, Stoeckeria algicidal, Woloszynskia cinct Gonyaulax spinifera, Gymnodinium sp.로 조사시기 및 지역에 상관없이 유사하였다. 따라서, 통영연안의 와편모조류 시스트의 분포는 2014년에 비해 2013년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포자의 발아 또는 포자의 생성, 가입에 따른 차이인지 등의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5232
Bibliographic Citation
한국조류학회 추계 발표대회, pp.105, 2015
Publisher
한국조류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