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 분포하는 해안사구의 퇴적물 특성과 형성시기 및 퇴적환경에 대한 고찰(리뷰)

Title
제주도에 분포하는 해안사구의 퇴적물 특성과 형성시기 및 퇴적환경에 대한 고찰(리뷰)
Alternative Title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sedimentary environments on sand dune in jeju Island, korea
Author(s)
현상민; 우경식; 송바름
KIOST Author(s)
Hyun, Sang Min(현상민)
Alternative Author(s)
현상민; 송바름
Publication Year
2016-12-01
Abstract
최근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연안지역에 분포하는 해안사구의 침식이나 훼손이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해안사구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검토해보았다. 제주도에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은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등이며 이들의 크기는 그 길이가 300~3000미터에 달한다. 이 중에 기존에 연구된 협재 지역, 김녕 일대, 신양리 주변에 분포하는 해안사구에 대해 기존 연구결과를 검토했다. 기존 연구결과 해안사구의 형성은 주로 최종빙기에 하강했던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현재에 이르렀을 때 천해환경에서 생성된 탄산염퇴적물이 소빙하기에 다시 침식되고 재동되어 해안사구를 형성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들 사구들에 대한 연대측정 결과 협재지역의 사구들에서는 약 3,500년 BP, 김녕일대에 분포하는 4개의 사구들에 대해서는 4,310년 BP, 2640년 BP, 4210년 BP, 1970년 BP로 나타났다. 또한 신양리 해안사구의 경우는 유기물에 의한 연대측정결과 사구형성이 약 3천년 이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대측정 결과를 감안한다면, 제주도에 분포하는 사구의 형성시기는 개략적으로 해수면이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상승한 후인 약 6천년 전 이후로 추측할 수 있으며,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해안 사구를 구성하는 퇴적물의 특성은 대부분의 해안사구에서 생물기원 탄산염입자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소량의 화산암편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호지역의 사구에서와 같이 화산암편을 주성분으로 하는 사구도 있으므로 제주도에 분포하는 사구들의 퇴적물 구성성분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등이며 이들의 크기는 그 길이가 300~3000미터에 달한다. 이 중에 기존에 연구된 협재 지역, 김녕 일대, 신양리 주변에 분포하는 해안사구에 대해 기존 연구결과를 검토했다. 기존 연구결과 해안사구의 형성은 주로 최종빙기에 하강했던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현재에 이르렀을 때 천해환경에서 생성된 탄산염퇴적물이 소빙하기에 다시 침식되고 재동되어 해안사구를 형성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들 사구들에 대한 연대측정 결과 협재지역의 사구들에서는 약 3,500년 BP, 김녕일대에 분포하는 4개의 사구들에 대해서는 4,310년 BP, 2640년 BP, 4210년 BP, 1970년 BP로 나타났다. 또한 신양리 해안사구의 경우는 유기물에 의한 연대측정결과 사구형성이 약 3천년 이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대측정 결과를 감안한다면, 제주도에 분포하는 사구의 형성시기는 개략적으로 해수면이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상승한 후인 약 6천년 전 이후로 추측할 수 있으며,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해안 사구를 구성하는 퇴적물의 특성은 대부분의 해안사구에서 생물기원 탄산염입자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소량의 화산암편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호지역의 사구에서와 같이 화산암편을 주성분으로 하는 사구도 있으므로 제주도에 분포하는 사구들의 퇴적물 구성성분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4272
Bibliographic Citation
한국기후변화학회, pp.1, 2016
Publisher
한국기후변화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