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2 플럭스 현장측정을 통한 유류오염 퇴적물 정화효능 비교

Title
CO2 플럭스 현장측정을 통한 유류오염 퇴적물 정화효능 비교
Alternative Title
Comparison of remediation efficacy using on-site CO2 flux measurement in oil contaminated sediment
Author(s)
김문구; 하성용; 안준건; Andrew; 정지현; 권개경; 임운혁
KIOST Author(s)
Kim, Moon Koo(김문구)Ha, Sung Yong(하성용)An, Joon Geon(안준건)Loh, Andrew(Loh, Andrew)Jung, Jee Hyun(정지현)Kwon, Kae Kyoung(권개경)Yim, Un Hyuk(임운혁)
Alternative Author(s)
김문구; 하성용; 안준건; Andrew; 정지현; 권개경; 임운혁
Publication Year
2017-04-20
Abstract
유류가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플럭스를 측정함으로써 유류 오염 퇴적물에 적용된 다양한 정화방법의 효능을 현장에서 비교하였다. 유류오염 퇴적물을 포함한 메소코즘을 조간대에 설치하여 71일 동안 관찰하였다. 실험구는, 현장 서식 미생물만을 포함하는 대조구, 영양염 처리구, 유류분해미생물 접종구, 유용미생물 접종구, 생물효소처리구, 분해촉진제 처리구, 활성탄 처리구로 구성되었다. 폐쇄순환 챔버와 적외선 분광기를 사용하여 각 처리구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농도변화를 측정하여 플럭스를 계산하였다. 이산화탄소 발생은 유류분해미생물 접종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생물효소처리구, 유용미생물 접종구에서 높았다. 가장 높은 플럭스는 접종 약 4일 후 생물효소처리구에서 관찰되었으나 이후 급격히 대조구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유류분해미생물 접종구에서는 관찰기간 내내 높은 플럭스를 보였으며 최고치는 약 23일 후 관찰되었다. 즉 초기 효과는 생물효소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이후 빠르게 감소한 반면 미생물 접종 처리구에서는 그 효과가 비교적 오래 지속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유류오염 시료의 화학적 성분분석을 통해서도 확인 되었다. 이 결과는, 이산화탄소 플럭스 측정을 통해 유류 분해효능을 현장에서 직접 확인 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서식 미생물만을 포함하는 대조구, 영양염 처리구, 유류분해미생물 접종구, 유용미생물 접종구, 생물효소처리구, 분해촉진제 처리구, 활성탄 처리구로 구성되었다. 폐쇄순환 챔버와 적외선 분광기를 사용하여 각 처리구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농도변화를 측정하여 플럭스를 계산하였다. 이산화탄소 발생은 유류분해미생물 접종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생물효소처리구, 유용미생물 접종구에서 높았다. 가장 높은 플럭스는 접종 약 4일 후 생물효소처리구에서 관찰되었으나 이후 급격히 대조구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유류분해미생물 접종구에서는 관찰기간 내내 높은 플럭스를 보였으며 최고치는 약 23일 후 관찰되었다. 즉 초기 효과는 생물효소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이후 빠르게 감소한 반면 미생물 접종 처리구에서는 그 효과가 비교적 오래 지속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유류오염 시료의 화학적 성분분석을 통해서도 확인 되었다. 이 결과는, 이산화탄소 플럭스 측정을 통해 유류 분해효능을 현장에서 직접 확인 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4060
Bibliographic Citation
2017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pp.160, 2017
Publisher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