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양쯔강 희석수기인 고수온 저염수에 의한 남해안 적조생물 성장의 일시적 제어효과

Title
중국 양쯔강 희석수기인 고수온 저염수에 의한 남해안 적조생물 성장의 일시적 제어효과
Author(s)
백승호; 이민지; 임영균
KIOST Author(s)
Baek, Seung Ho(백승호)Lim, Young Kyun(임영균)
Alternative Author(s)
백승호; 이민지; 임영균
Publication Year
2017-10-26
Abstract
우리나라에서는 유해 미세조류의 대발생(HABs)에 의하여 매년 큰 경제적 피해를 입고 있고, 해양에서 HABs은 하천과 육지에서 흘러나오는 과다한 오염물질, 즉 생물에 필요한 영양분이 연안 및 호소에 크게 늘어나면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우리나라 수산 양식업에 막대한 피해를 유발하는 Cochlodinium의 적조 발생은 일반적인 적조생물의 대발생과 전혀 다른 경향(정반대)을 가지고 있는 것을 최근에 조금씩 밝혀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HABs (Cochlodinium) 발생양상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고, 첫 번째 해류에 의한 외부 유입과, 두 번째 시스트 발아, 세 번째로 국부적인 시스트 발아와 함께 외부에 유입되는 개체군이 합류하여 남해역에서 동해역으로 또는 전국으로 확산되는 경향이 강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7월에 양쯔강 다량 방류에 의하여 양쯔강 희석수가 양쯔강 하구로부터 500-800km 떨어진 우리나라 남해역으로 확산되는데 1개월이 걸렸고, 그 결과 동중국해역 뿐만 아니라,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남해역 전반에 걸쳐 8월초-중순에 고수온 영역이 크게 확장되었다. 조사해역인 통영 매물도 남단과 거제도 남부해역에서도 30도 넘는 고수온 및 저염분(c.a. 30 psu)수괴가 약 20일 동안 유지되었다. 그 결과, 남해안에 매년 Cochlodinium의 적조가 발생하는 시기를 1개월 지연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8월중순 Cochlodinium적조발생 후 태풍의 간접적인 영향에 의한 적조생물의 소멸기작 및, 남동해역(남해도, 통영, 거제도)으로 확산하지 않은 원인을 물리적인 해역환경특성으로 근거로 해석하고자 노력하였다. 결과적으로 2016년 8월20일에 우리나라의 남해안 우리나라 수산 양식업에 막대한 피해를 유발하는 Cochlodinium의 적조 발생은 일반적인 적조생물의 대발생과 전혀 다른 경향(정반대)을 가지고 있는 것을 최근에 조금씩 밝혀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HABs (Cochlodinium) 발생양상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고, 첫 번째 해류에 의한 외부 유입과, 두 번째 시스트 발아, 세 번째로 국부적인 시스트 발아와 함께 외부에 유입되는 개체군이 합류하여 남해역에서 동해역으로 또는 전국으로 확산되는 경향이 강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7월에 양쯔강 다량 방류에 의하여 양쯔강 희석수가 양쯔강 하구로부터 500-800km 떨어진 우리나라 남해역으로 확산되는데 1개월이 걸렸고, 그 결과 동중국해역 뿐만 아니라,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남해역 전반에 걸쳐 8월초-중순에 고수온 영역이 크게 확장되었다. 조사해역인 통영 매물도 남단과 거제도 남부해역에서도 30도 넘는 고수온 및 저염분(c.a. 30 psu)수괴가 약 20일 동안 유지되었다. 그 결과, 남해안에 매년 Cochlodinium의 적조가 발생하는 시기를 1개월 지연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8월중순 Cochlodinium적조발생 후 태풍의 간접적인 영향에 의한 적조생물의 소멸기작 및, 남동해역(남해도, 통영, 거제도)으로 확산하지 않은 원인을 물리적인 해역환경특성으로 근거로 해석하고자 노력하였다. 결과적으로 2016년 8월20일에 우리나라의 남해안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3723
Bibliographic Citation
한국환경생물학회정기학술대회, pp.48, 2017
Publisher
한국환경생물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