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각류 난(Eggs)에 대한 선박 방오(Antifouling)물질의 독성 영향

Title
요각류 난(Eggs)에 대한 선박 방오(Antifouling)물질의 독성 영향
Author(s)
장민철; 정주학; 정지현; 김문구; 강정훈
KIOST Author(s)
Jang, Min Chul(장민철)Jung, Jee Hyun(정지현)Kim, Moon Koo(김문구)Kang, Jung Hoon(강정훈)
Alternative Author(s)
장민철; 정주학; 정지현; 김문구; 강정훈
Publication Year
2017-11-02
Abstract
선박 선저에는 따개비 및 해조류 등의 생물들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방오도료 (Antifouling paint)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오도료는 선박이 운항함에 따라 조금씩 벗겨져 해저에 가라앉게 된다. 또한 선박에 부착된 생물들의 제거는 대부분 선박을 육상에 상가 한 뒤 고압 세척기(Water jet)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제거하며, 이때 방오도료도 함께 벗겨져 바다로 흘러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널리 사용되는 방오물질인 Diuron, Irgarol 1051, Sea-nine 211과 육상에서 선박부착물 제거 시 발생되는 파생물질(Water jet 파생물)과 이 물질의 메탄올(MeOH) 추출물이 요각류 난(Eggs)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연안에 우점하는 요각류 Acartia omorii와 Paracalanus parvus s. l.의 난에 대해 각 방오물질과 Water jet 파생물들의 영향에 따른 부화율과 사망률을 분석하였다. 각 물질별 부화율은 두 종 모두 Irgarol 1051, Diuron, Sea-nine 211 순으로 높게 나타나 Sea-nine 211의 독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Water jet 파생물과 Water jet MeOH 추출물에서는 Water jet 파생물에서 더 높은 부화율을 보였다. 물질 투입 24시간 후 유생 사망률은 전체적으로 P. parvus s.l.이 A. omorii에 비해 높았고, 물질별로는 Sea-nine 211, Irgarol 1051, Diuron 순으로 높아 부화율과 다르게 Diuron의 영향이 가장 약하게 나타났다. 또한, Water jet MeOH 추출물의 사망률이 Water jet 파생물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난의 부화율과 유생사망률에서 전체적으로 P. parvus s.l.이 A. omorii에 비해 더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일부 난에서는 형태적 기형 현상이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요각류 난들은 해저에 선박을 육상에 상가 한 뒤 고압 세척기(Water jet)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제거하며, 이때 방오도료도 함께 벗겨져 바다로 흘러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널리 사용되는 방오물질인 Diuron, Irgarol 1051, Sea-nine 211과 육상에서 선박부착물 제거 시 발생되는 파생물질(Water jet 파생물)과 이 물질의 메탄올(MeOH) 추출물이 요각류 난(Eggs)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연안에 우점하는 요각류 Acartia omorii와 Paracalanus parvus s. l.의 난에 대해 각 방오물질과 Water jet 파생물들의 영향에 따른 부화율과 사망률을 분석하였다. 각 물질별 부화율은 두 종 모두 Irgarol 1051, Diuron, Sea-nine 211 순으로 높게 나타나 Sea-nine 211의 독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Water jet 파생물과 Water jet MeOH 추출물에서는 Water jet 파생물에서 더 높은 부화율을 보였다. 물질 투입 24시간 후 유생 사망률은 전체적으로 P. parvus s.l.이 A. omorii에 비해 높았고, 물질별로는 Sea-nine 211, Irgarol 1051, Diuron 순으로 높아 부화율과 다르게 Diuron의 영향이 가장 약하게 나타났다. 또한, Water jet MeOH 추출물의 사망률이 Water jet 파생물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난의 부화율과 유생사망률에서 전체적으로 P. parvus s.l.이 A. omorii에 비해 더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일부 난에서는 형태적 기형 현상이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요각류 난들은 해저에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3675
Bibliographic Citation
2017년 추계 한국해양학회 학술대회, pp.120, 2017
Publisher
한국해양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