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화산체 주변 해역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분포

Title
독도 화산체 주변 해역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분포
Author(s)
이수환; 백영숙; 전청균; 이상훈
KIOST Author(s)
Lee, Su Hwan(이수환)Jeon, Chung Kyun(전청균)Lee, Sang Hoon(이상훈)
Alternative Author(s)
이수환; 백영숙; 전청균; 이상훈
Publication Year
2017-11-02
Abstract
본 연구는 신생대 2기 약 460만 년 전에 화산폭발로 인해 생성된 독도 화산체 정상부 주
변 해역의 표층 퇴적물의 조성, 특성 및 공간적인 분포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독도 주변해역의 표층 퇴적물은 쇄설성 퇴적물과 탄산염 퇴적물로 구성된다. 쇄설성 퇴적
물은 자갈과 모래 퇴적물이 우세하며 니질 퇴적물의 함량이 낮게 나타나며 4개의 Type (I
∼IV)으로 구분하였다. Type I은 역(gravel, G) 및 사질 역(sandy gravel, sG), Type II는
니사질 역(muddy sandy gravel, msG), Type III는 역질 사(gravelly sand, gS) 및 역니질
사(gravelly muddy sand, gmS), 그리고 Type IV는 약역질사(slightly gravelly sand, (g)S)
및 사질(sand, S) 퇴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질 퇴적물이 우세한 Type I 과 II는 수심 80
m 이하의 대부분 지역에서 관찰되며, 동도와 서도의 북부 해역에서 우세하다. 지형적 특징
은 동도와 서도의 남쪽에 비해 비교적 평탄한 지형에 해당되며 해저면 영상자료에 의하면
화산암이 해저면에 노출된 암반 지역으로 확인된다. 사질 퇴적물이 우세한 Type III과 IV는
연구지역의 남부 해역에서 우세하며 북쪽에서는 수심이 80 m 이상인 일부 지역에서 관찰된
다. 동도와 서도에서 멀어질수록, 즉 수심이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사질 퇴적물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탄산염 퇴적물의 분포는 화산체 중심부인 동도와 서도 인근에서는
낮지만 수심 70 m 이상의 지역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공간적으로는 모래
퇴적물이 우세한 서도와 동도의 남쪽지역에서 탄산염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북쪽에서
는 암반 지역을 지나 수심 70 m 인근 지역을 기점으로 탄산염 함량된다. 쇄설성 퇴적
물은 자갈과 모래 퇴적물이 우세하며 니질 퇴적물의 함량이 낮게 나타나며 4개의 Type (I
∼IV)으로 구분하였다. Type I은 역(gravel, G) 및 사질 역(sandy gravel, sG), Type II는
니사질 역(muddy sandy gravel, msG), Type III는 역질 사(gravelly sand, gS) 및 역니질
사(gravelly muddy sand, gmS), 그리고 Type IV는 약역질사(slightly gravelly sand, (g)S)
및 사질(sand, S) 퇴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질 퇴적물이 우세한 Type I 과 II는 수심 80
m 이하의 대부분 지역에서 관찰되며, 동도와 서도의 북부 해역에서 우세하다. 지형적 특징
은 동도와 서도의 남쪽에 비해 비교적 평탄한 지형에 해당되며 해저면 영상자료에 의하면
화산암이 해저면에 노출된 암반 지역으로 확인된다. 사질 퇴적물이 우세한 Type III과 IV는
연구지역의 남부 해역에서 우세하며 북쪽에서는 수심이 80 m 이상인 일부 지역에서 관찰된
다. 동도와 서도에서 멀어질수록, 즉 수심이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사질 퇴적물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탄산염 퇴적물의 분포는 화산체 중심부인 동도와 서도 인근에서는
낮지만 수심 70 m 이상의 지역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공간적으로는 모래
퇴적물이 우세한 서도와 동도의 남쪽지역에서 탄산염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북쪽에서
는 암반 지역을 지나 수심 70 m 인근 지역을 기점으로 탄산염 함량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3648
Bibliographic Citation
2017년도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 pp.169, 2017
Publisher
(사)한국해양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