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강 유출량 변화가 동중국해 하위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Title
장강 유출량 변화가 동중국해 하위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Alternative Title
The influences of Changjiang river discharge on the lower tropic ecosystems in the East China Sea
Author(s)
서옥희; 강현우; 소재귀; 장찬주; 구본화
KIOST Author(s)
Seo, Ok Hee(서옥희)Kang, Hyoun Woo(강현우)Jang, Chan Joo(장찬주)Ku, Bon Hwa(구본화)
Alternative Author(s)
서옥희; 강현우; 소재귀; 장찬주; 구본화
Publication Year
2018-05-24
Abstract
장강 희석수는 홍수기에는 북동쪽으로, 갈수기에는 남쪽으로, 7-10월에는 중국연안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 등 3개의 분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Wu et al., 2014). 1955-2008년 사이 장강유역의 인간 활동에 의한 오염으로 질산염과 인산염은 증가한반면 삼협댐과 많은 저수지 건설로 인해 유속이 감소하며 부유사의 유출이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해 규산염은 감소하였다. 인산염에 비해 질산염의 농도증가가 빠르게 나타나 N/P 비율은 높아지고, 규산염 감소로 Si/N 비율은 감소하였다(Dai et al. 2011). 이러한 영양염 환경 변화는 장강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생태계 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하계 저염수의 확장에 따라 동중국해 하위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주변해역(북위 22~65°N, 동경 117~167°E)에서 3차원 해양순환-생지화학결합모형(POLCOMS-ERSEM)을 수립하고, 장강 저염수 배출량 변동성에 따른 동중국해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다른 하천의 방류량은 계절변동성만을 유지한 채 장강만 경년변동성을 부여하여 1981년부터 2010년까지 30년을 수치 적분하였다. 이 기간동안 장강의 평균 배출량은 28,258 m3/s, 최소 배출량은 7,529 m3/s, 최대 배출량은 77,042 m3/s 이었다. 30년 평균대비 여름철 가장 많은 배출량을 보인 1998년과 가장 적은 배출량을 보인 2006년을 비교하여 장강 유출량의 변화에 따른 하위생태계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3285
Bibliographic Citation
2018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pp.57, 2018
Publisher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