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해역에서 해상 가두리 내 참돔, 감성돔 및 조피볼락의 성장, 사료효율 및 생존율 비교

Title
울릉도 해역에서 해상 가두리 내 참돔, 감성돔 및 조피볼락의 성장, 사료효율 및 생존율 비교
Author(s)
오승용; 박진우; 신진용; 윤성진; 김윤배
KIOST Author(s)
Oh, Sung Yong(오승용)Yoon, Sung Jin(윤성진)Kim, Yun Bae(김윤배)
Alternative Author(s)
오승용; 박진우; 신진용; 윤성진; 김윤배
Publication Year
2018-10-19
Abstract
해상 가두리 내 참돔(Pagrus major, 평균 무게 1.9±1.4 g), 감성돔(Acanthopagrus major, 2.6±0.8 g) 그리고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3.4±0.9 g)의 성장, 사료효율 및 생존율을 조사하기 위해 2년 동안(2016년 6월∼2018년 6월) 울릉도 현포 지역에서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해상가두리(6.0 × 6.0 × 3.0 m) 내 참돔, 감성돔 그리고 조피볼락은 각각 2,500, 2,500 그리고 6,000마리씩 2반복 수용하여 배합사료(단백질 함량 47%)와 MP 사료를 혼용하여 하루에 세 번 만복 공급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각 실험어는 1개월 간격으로 100마리씩 무작위로 샘플하여 무게와 전장을 측정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환경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울릉도 혈암 파고부이를 이용하여 월별 파고를 측정하였고, 수온, 염분, 수소이온 농도 및 용존산소 농도는 해상가두리 주변 5정점을 선정하여 표층, 중층 그리고 저층별로 측정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최대 파고는 7.0 m 이상으로 나타났고, 월 평균 최저와 최대 파고는 각각 0.59 m(7월)와 2.49 m(1월)로 나타나 북서계절풍이 부는 11월부터 3월에 높게 나타났다. 실험기간 동안 수온, 염분, 수소이온 농도 및 용존산소 농도는 각각 9.0∼29.6℃(평균 18.6±5.4℃), 30.0∼34.5 psu(33.1±0.7 psu), 7.82∼8.20(8.11±0.04) 그리고 6.71∼12.12 mg/L(9.34±1.25 mg/L) 범위이었다. 실험 종료시 참돔, 감성돔 그리고 조피볼락의 최종 평균 무게는 각각 388.7±24.3, 191.0±19.0 그리고 495.0±34.9 g이었다. 참돔, 감성돔 그리고 조피볼락의 생존율은 각각 62.7±2.1, 60.7±1.5 그리고 65.0±2.7%이었으며, 사료효율은 각각 18.2±2.3, 12.0±0.9 그리고 29.4±2.13%로 조피볼락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참서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해상가두리(6.0 × 6.0 × 3.0 m) 내 참돔, 감성돔 그리고 조피볼락은 각각 2,500, 2,500 그리고 6,000마리씩 2반복 수용하여 배합사료(단백질 함량 47%)와 MP 사료를 혼용하여 하루에 세 번 만복 공급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각 실험어는 1개월 간격으로 100마리씩 무작위로 샘플하여 무게와 전장을 측정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환경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울릉도 혈암 파고부이를 이용하여 월별 파고를 측정하였고, 수온, 염분, 수소이온 농도 및 용존산소 농도는 해상가두리 주변 5정점을 선정하여 표층, 중층 그리고 저층별로 측정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최대 파고는 7.0 m 이상으로 나타났고, 월 평균 최저와 최대 파고는 각각 0.59 m(7월)와 2.49 m(1월)로 나타나 북서계절풍이 부는 11월부터 3월에 높게 나타났다. 실험기간 동안 수온, 염분, 수소이온 농도 및 용존산소 농도는 각각 9.0∼29.6℃(평균 18.6±5.4℃), 30.0∼34.5 psu(33.1±0.7 psu), 7.82∼8.20(8.11±0.04) 그리고 6.71∼12.12 mg/L(9.34±1.25 mg/L) 범위이었다. 실험 종료시 참돔, 감성돔 그리고 조피볼락의 최종 평균 무게는 각각 388.7±24.3, 191.0±19.0 그리고 495.0±34.9 g이었다. 참돔, 감성돔 그리고 조피볼락의 생존율은 각각 62.7±2.1, 60.7±1.5 그리고 65.0±2.7%이었으며, 사료효율은 각각 18.2±2.3, 12.0±0.9 그리고 29.4±2.13%로 조피볼락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참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3024
Bibliographic Citation
2018년 한국해양생명과학회 학술대회, pp.58, 2018
Publisher
한국해양생명과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