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준설토 재활용을 위한 수저준설토 정화처리 시스템의 활용

Title
해양준설토 재활용을 위한 수저준설토 정화처리 시스템의 활용
Alternative Title
Use of the remediation technology of contaminated dereged sediments for beneficial of dredged marine sediments
Author(s)
최진영; 김경련; 원은지
KIOST Author(s)
Choi, Jin Young(최진영)Kim, Kyoung Rean(김경련)
Alternative Author(s)
최진영; 김경련; 원은지
Publication Year
2016-12-02
Abstract
국내에서 항만개발, 유지준설, 환경준설 등으로 발생하는 해양준설토는 ’00년부터 ’14년까지 연평균 480만 m3 정도 발생했다. 발생한 해양준설토의 90 %는 투기장이나 부지에 투기/매립, 5.9 %는 외해투기되며 0.07 %정도만 공사자재 등으로 재활용 되고 있다. 국내와 마찬가지로 대체적으로 준설토는 투기장 배출이 주요 해결책이며 미국, 호주 등 국역이 넓은 국가에서는 연안투기장에 투기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환경피해를 이유로 이에 반대하는 여론이 많고, 유럽, 일본, 우리나라 등 국가 면적이 넓지 않은 국가들은 새 투기장을 건설할 부지를 확보하는 것도 쉽지 않다.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수저준설토를 자원으로 인식하고 유효활용율을 높이기 위하여 기술을 개발하고 실용화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의 준설토 유효활용에 대한 기술개발과 실용화는 미흡한 실정이다. 해양수산부는 2016년부터 준설토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본격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오명학 외, 2015). 현재 항만 준설토는 거의 부지 매립 등으로 소진되기 때문에큰 문제가 없지만, 오염우심해역의 정화복원 사업으로 발생하는 오염준설토는 연안투기장이나 해양투기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에 사업 예산의 상당부분을 소모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투기장의 경우도 환경오염우려 혹은 주민반대 등으로 확보가 점점 어려워짐에 따라 해양수산부에서는 해양오염퇴적물의 정화 관련 연구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연구팀이 개발한 수저준설토를 현장에서 정화하고 유효활용이 가능한 분율을 선별하여, 폐기될 준설토를 순환자원화 할 수있는 기술을 고 있다. 국내와 마찬가지로 대체적으로 준설토는 투기장 배출이 주요 해결책이며 미국, 호주 등 국역이 넓은 국가에서는 연안투기장에 투기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환경피해를 이유로 이에 반대하는 여론이 많고, 유럽, 일본, 우리나라 등 국가 면적이 넓지 않은 국가들은 새 투기장을 건설할 부지를 확보하는 것도 쉽지 않다.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수저준설토를 자원으로 인식하고 유효활용율을 높이기 위하여 기술을 개발하고 실용화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의 준설토 유효활용에 대한 기술개발과 실용화는 미흡한 실정이다. 해양수산부는 2016년부터 준설토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본격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오명학 외, 2015). 현재 항만 준설토는 거의 부지 매립 등으로 소진되기 때문에큰 문제가 없지만, 오염우심해역의 정화복원 사업으로 발생하는 오염준설토는 연안투기장이나 해양투기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에 사업 예산의 상당부분을 소모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투기장의 경우도 환경오염우려 혹은 주민반대 등으로 확보가 점점 어려워짐에 따라 해양수산부에서는 해양오염퇴적물의 정화 관련 연구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연구팀이 개발한 수저준설토를 현장에서 정화하고 유효활용이 가능한 분율을 선별하여, 폐기될 준설토를 순환자원화 할 수있는 기술을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0473
Bibliographic Citation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pp.53 - 58, 2016
Publisher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