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무인해양관측 네트워크 현황과 전망 KCI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남성현 -
dc.contributor.author 김윤배 -
dc.contributor.author 박종진 -
dc.contributor.author 장경일 -
dc.date.accessioned 2020-04-19T23:40:19Z -
dc.date.available 2020-04-19T23:40:19Z -
dc.date.created 2020-02-10 -
dc.date.issued 2014-08 -
dc.identifier.issn 1226-2978 -
dc.identifier.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1591 -
dc.description.abstract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무인해양관측 체계들의 현황을 글로벌 관점에서 조명하고, 이를 범국가적 차원에서 통합, 조정,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대해 고찰하였다. 3차원 시공간적으로 변동이 심한 해양환경을 관측/감시하기 위해서 무인해양관측 플랫폼들은 점차 다양화되고 있는데, 여기서는 이동형(표층 뜰개, 중층 플로트, 수중 글라이더)과 고정형(표층 및 수중 계류선, 바닥장착형 관측)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목적, 역사, 현황을 조사하고, 향후 변화를 전망했다. 이들을 활용하여 글로벌 해양관측체계에 기여하고 있는 대표적인 고정형과 이동형 무인해양관측 네트워크(ARGO와 OceanSITES) 프로그램들의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고, 글로벌 해양관측/모니터링 체계를 위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운용 및 활용 증가를 전망했다. 마지막으로 더욱 효과적인 해양관측/모니터링 체계를 설계하기 위해 다종의 플랫폼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였고, 그 대표적인 예로 미 국립과학재단의 OOI(Ocean Observatories Initiative)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아울러 심해 및 남반구와 같이 글로벌 관점에서 존재하는 자료의 틈을 줄여나가기 위한 노력과 글로벌 경계류 관측 네트워크와 같은 새로운 해양관측 네트워크를 위한 노력, 그리고 생지화학/음향/광학 센서들을 포함한 센서 기술들의 개발 노력과, 자료의 표준화 및 센서 검/교정을 위한 노력에 대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We introduce status and prospect of increasingly utilizing, unmanned, global ocean observing systems, and the global network to integrate, coordinate, and manage the systems. Platforms of the ocean observing system are diversified in order to resolve/monitor the variability occurring at multiple scales in both three-dimensional space and time. Here purpose, development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the systems in two kinds - mobile (surface drifter, subsurface float, underwater glider) and fixed platforms (surface and subsurface moorings, bottom mounts), are examined and the increased future uses to produce synergies are envisioned. Simultaneous use of various mobile and fixed platforms is suggested to more effectively design the observing system, with an example of the NSF-funded OOI (Ocean Observations Initiative) program. Efforts are suggested 1) to fill the data gap existing in the deep sea and the Southern Ocean, and toward 2) new global network for oceanic boundary currents, 3) new technologies for existing and new sensors including biogeochemical, acoustic, and optical sensors, 3) data standardization, and 4) sensor calibration and data quality control. -
dc.description.uri 2 -
dc.language Korean -
dc.publisher 한국해양학회 -
dc.title 글로벌 무인해양관측 네트워크 현황과 전망 -
dc.title.alternative Status and Prospect of Unmanned, Global Ocean Observations Network -
dc.type Article -
dc.citation.endPage 214 -
dc.citation.startPage 202 -
dc.citation.title 바다 -
dc.citation.volume 19 -
dc.citation.number 3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김윤배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바다, v.19, no.3, pp.202 - 214 -
dc.identifier.kciid ART001905327 -
dc.description.journalClass 2 -
dc.description.isOpenAccess N -
dc.subject.keywordAuthor Unmanned ocean observation -
dc.subject.keywordAuthor Global ocean observation network -
dc.subject.keywordAuthor ARGO -
dc.subject.keywordAuthor OceanSITES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kci -
Appears in Collections:
East Sea Research Institute > Ulleungdo·Dokdo Ocean Science Station > 1. Journal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