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주변의 해수 고유광특성과 해색 알고리즘의 관계 분석 KCI

Title
한반도 주변의 해수 고유광특성과 해색 알고리즘의 관계 분석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herent Optical Properties and Ocean Color Algorithms Around the Korean Waters
Author(s)
민지은; 유주형; 박영제
KIOST Author(s)
Ryu, Joo Hyung(유주형)Park, Young Je(박영제)
Alternative Author(s)
민지은; 유주형; 박영제
Publication Year
2015-10
Abstract
There are diverse sea areas within the coverage of GOCI which is observed around the Korea at one-hour intervals. It includes not only very clear ocean of East Sea, but also extremely turbid waters of the Yangtze River estuar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ifferent opt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sea areas using absorption coefficients of phytoplankton,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PM), Dissolved Organic Matter(DOM). Totally 959 sets of bio-optical and marine environmental data were obtained from 2009 to 2014 around the sea area of Korea. The East Sea, South Sea, East China Sea and offshore part of Yellow Sea showed similar pattern having high levels of contribution of phytoplankton and DOM. On the other hands, the coastal part of Mokpo and Gyeonggi Bay showed opposite pattern having high levels of contribution of SPM and DOM. As a result of the algorithm performance for chlorophyll-a(Chl-a) and SPM, Chl-a is mostly overestimated and SPM is mainly tended to be underestimated. Large amount of errors are induced by the SPM rather than the chl-a and DOM. These errors are primarily founded in the coastal waters having relatively high levels of aSPM contribution of more than 60%.

우리나라 주변을 한 시간 간격으로 관측하고 있는 GOCI의 관측영역 안에는 매우 맑은 대양의 성격을 띠는 동해부터 세계적인 큰 강인 양쯔강 하구의 극심하게 탁한 해역까지 매우 폭 넓은 해수 환경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해수 구성 성분인 식물 플랑크톤, 부유물질, 용존유기물질의 흡광 특성자료를 이용하여 각 해역별 해수 환경의 차이를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 ~ 2014년까지 6년 동안 한반도 주변 해역의 총 959개 정점에서 얻어진 해양 광학 자료 및 해양 환경 자료가 사용되었다. 그 결과 동해, 남해, 동중국해, 황해 외해역은 DOM과 식물 플랑크톤의 기여도가 높은 비슷한 분포 패턴을 나타냈고, 이와는 달리 목포 및 경기만 연안 해역은 부유물질과 용존유기물질의 기여도가 높은 분포 패턴을 보였다. 클로로필 및 부유물질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검증해 본 결과, 클로로필은 주로 과대 추정되고, 부유물질은 주로 과소 추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큰 오차의 경우 클로로필, 부유물질, 용존유기물질 중에서 부유물질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aSPM 의 기여도가 60% 이상으로 높을 때 연안 해역에서 나타났다.
ISSN
1225-6161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1509
DOI
10.7780/kjrs.2015.31.5.11
Bibliographic Citation
대한원격탐사학회지, v.31, no.5, pp.473 - 490, 2015
Publisher
대한원격탐사학회
Keywords
optical characteristics; ocean color algorithms; chlorophyll;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GOCI
Type
Articl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