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계 진해만 주변해역의 해수와 홍합내 마비성패독의 분포 특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최동한 -
dc.contributor.author 이연정 -
dc.contributor.author 김영은 -
dc.contributor.author 양원석 -
dc.contributor.author 박범수 -
dc.contributor.author 성지연 -
dc.contributor.author 최재호 -
dc.date.accessioned 2024-01-02T04:31:09Z -
dc.date.available 2024-01-02T04:31:09Z -
dc.date.created 2023-12-27 -
dc.date.issued 2023-11-02 -
dc.identifier.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45087 -
dc.description.abstract Alexandrium 과 같은 유독 와편모류에 의해 생성된 후 이들물 섭식한 패류에 농축되는 것으로 알려진 마비성패독(paralytic shellfish toxins, PST)은 우리나라에서 해산물 안전을 위협하는 해양생물독소의 하나이다. 특히 저수온기인 초봄에 남해안을 중심으로 빈번히 기준 농도 이상으로 출현하여 패독주의보가 발령되고 패류 채취가 금지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3 월부터 5 월까지 6 회에 걸쳐 홍합 양식이 활발한 진해만 주변의 7 개 항에서 해수내 미세조류(20 pm 이상〕와 항 주변 부착물에 붙은 홍합근육에서 주요 PST 독소의 profile을 조사하여,미세조류와 홍합내 PST 독소들의 시공간 변동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DNA 분석을 통해 홍합 장내 와편모조류의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미세조류 내 PST 독소 농도는 0.3~ 83.2 ng STX eq./mg dw 범위로 조사 기간에 큰 변동을 보였으며,홍합 근육내 독소량도 조사기간 동안 약 200 배 이상의 큰 변동을 나타냈다. 미세조류 및 근육시료 모두에서 GTX1 과 GTX4 가 가장 높은 농도의 독소로 나타났으며, STX 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홍합의 장내에서 다양한 와편모류의 염기서열이 얻어졌으며,패류의 독소가 높았던 시기에 대체로 Alexandrium 그룹이 높게 나타나,연구 해역에서 패독 발생에 Alexandrium 의 성장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남해안의 패독 출현 양상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기기분석 등 마우스 대체 시험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uri 2 -
dc.publisher (사)한국해양학회 -
dc.relation.isPartOf 2023년도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dc.title 춘계 진해만 주변해역의 해수와 홍합내 마비성패독의 분포 특성 -
dc.type Conference -
dc.citation.conferenceDate 2023-11-01 -
dc.citation.conferencePlace KO -
dc.citation.conferencePlace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
dc.citation.title 2023년도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최동한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이연정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양원석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2023년도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 -
dc.description.journalClass 2 -
Appears in Collections:
Ocean Climate Solutions Research Division > Ocean Climate Response & Ecosystem Research Department > 2. Conference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