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천제연 하구 소상어류의 월별 종조성 KCI

Title
제주 천제연 하구 소상어류의 월별 종조성
Alternative Title
Monthly Species Composition of Upstream-Migrating Fish in the Cheonjeyeon Estuary of Jeju, Korea
Author(s)
황학빈; 이태원; 황선완; 김병직
KIOST Author(s)
Hwang, Sun Wan(황선완)
Alternative Author(s)
황선완
Publication Year
2008-09
Abstract
Monthly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upstream-migrating fish in the Cheonjeyeon Estuary was determined by analyzing fish data collected January~September 2004 and January~August 2007. Fish migrating from the sea to freshwater through the channels were collected by a rectangular net with a mesh size of 2 mm during the day and at night in the new moon. Of 14 species collected, ayu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 and mullet (Mugil cephalus) predominated in abundance. Glass eels (Anguilla japonica) occurred mainly during the night from February to May. Other fishes collected included brackish-water gobiids (Gymnogobius urotaenia, Rhinogobius giurinus, Tridentiger obscurus, and Sicyopterus japonicus), freshwater fishes (Misgurnus anguillicaudatus and Rhynchocypris oxycephalus), and coastal marine fishes (Engraulis japonicus, Pempheris japonica, Plotosus lineatus, Takifugu niphobles, and Terapon jarbua). Ayu occurred during almost all sampling periods. They ranged principally from 55 to 100 mm total length (TL), with some fish larger than 100mm TL collected after April. Mullet also occurred during almost all sampling periods. They ranged principally 25~58 mm TL, with some larger fish of 103~240 mm TL collected in February and April. That only a few freshwater and brackish-water fishes occurred in the study area is probably related to the freshwater systems having long been isolated from the continental systems and to the poorly developed estuaries in Jeju Island reflecting limited river discharge.

2004년 1월에서 9월 및 2007년 1월에서 8월 사이 천제연 하구에서 소상하는 어류를 채집하여 월별 밤과 낮의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천제연 하구의 하천과 바다 사이에 건설된 보의 수로에 망목 2 mm의 그물을 설치하여 매월 그믐 밤과 낮에 바다에서 민물로 소상하는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와 숭어 (Mugil cephalus)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강하성 어류인 실뱀장어(Anguilla japonica)가 소상 시기인 2월에서 5월 밤에 주로 채집되었고, 기수성인 갈문망둑(Rhinogobius giurinus), 검정망둑(Tridentiger obscurus), 열동갈문절(Sicyopterus japonicus)과 꾹저구(Gymnogobius urotaenia) 같은 망둑어류가 채집되었다. 담수어류인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가 소량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간조 때 담수를 따라 바다로 이동된 후 만조 때 다시 담수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채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산어인 멸치(Engraulis japonicus), 주걱치(Pempheris japonica), 쏠종개 (Plotosus lineatus), 복섬 (Takifugu niphobles)이 소량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만조 때 담수로 유입되는 해수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채집된 것으로 보인다. 은어는 조사기간 동안 계속 채집되었으며, 전장(TL) 55~100 mm인 개체들이 주로 채집되었으나 4월 이후에는 100 mm TL보다 큰 개체들도 채집되었다. 숭어도 조사기간 동안 계속 채집되었으며, 대부분 전장 범위가 28~58 mm 사이였으나, 2월과 4월에는 103~240 mm TL의 큰 개체들도 채집되었다. 제주도의 하천은 육지로부터 고립되었고 그 길이도 짧아 담수종의 수가 적고 기수역이 발달하지 않아, 담수종이나기수성 어류가 많지 않은 관계로 소상 어류상이 빈약한 것으로 보인다.
ISSN
1225-8598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4454
Bibliographic Citation
한국어류학회지, v.20, no.3, pp.210 - 219, 2008
Publisher
한국어류학회
Keywords
Upstream migration; estuarine fish;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 Mugil cephalus; Anguillajaponica
Type
Articl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