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바이오 기반 청정 기능성·산업소재 대량생산 기술 개발

Title
해양바이오 기반 청정 기능성·산업소재 대량생산 기술 개발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mass production of useful marine bioproducts
Principal Investigator
권개경
Author(s)
권개경; 강성균; 이현숙; 김윤재; 임재규; 임형순; 이종민; 이성혁; 이정현; 염승식; 이성목; 안영준; 이경원; 양성현; 오철홍; 허수진; 강도형; 허성표; 김형직; 최운용; 허성영; 양현성; 김은아; 이영득; 강나래; 김준성; 조은영; 김태호; 박아름이; 이연지; 정윤식; 안소언; 박용주; 노충환; 오승용; 최영웅; 최희정; 정윤환; 한정훈; 최동문; 이영욱; 윤보배; 정유경; 장석일; 박흥식; 이대원; 김윤칠; 이형곤; 이택견; 정승원; 박준상; 김현정; 강형구; 최보경; 김한준; Teddy Namirimu; 권수재; 김한별; 권해준; 오진규; 노유림; 박미정; 박영준; 유지수; 조수아; 진혜인; 양지인; 유지현; 이선민; 이자넷; 김수진; 최아연; 한경학; 도혜림; 이원규; 유용균; 엄태양; 강예희; 현지연; Hettiarachchi Sachithra Amarin; Svini Dileepa Marasinghe; 김혁진; 황지원; 김가람; 정가을; Nguyen Khac Dat; 김강은; ANGKA MAHA; Jonathan; 김태훈; 최현아; 서서영; 이경태; 이지훈; 임현경; 우수현; 김명주; 송진아; 김민석; 김민지; 윤희주; 김민성; 김용진; 이태경; 김수인; 나혜윤; 최하람
KIOST Author(s)
Kwon, Kae Kyoung(권개경)Kang, Sung Gyun(강성균)Lee, Hyun Sook(이현숙)Kim, Yun Jae(김윤재)Lim, Jae Kyu(임재규)Yim, Hyung Soon(임형순)Lee, Joungmin(이종민)Lee, Seong Hyuk(이성혁)Lee, Jung Hyun(이정현)Yum, Seung Shic(염승식)Lee, Sung Mok(이성목)An, Young Jun(안영준)Lee, Kyeong Won(이경원)Yang, Sung Hyun(양성현)Oh, Chul Hong(오철홍)Heo, Soo Jin(허수진)Kang, Do Hyung(강도형)Kim, Hyung Jeek(김형직)Choi, Yong Woon(최운용)Heo, Seong Yeong(허성영)Yang, Hyun Sung(양현성)Kim, Eun A(김은아)Lee, Young Deuk(이영득)Kang, Na Lae(강나래)Kim, Jun Seong(김준성)Jo, Eunyoung(조은영)Kim, Tae Ho(김태호)Park, Areumi(박아름이)Lee, Yeon-Ji(이연지)Ahn, So Eon(안소언)Park, Yong Joo(박용주)Noh, Choong Hwan(노충환)Oh, Sung Yong(오승용)Choi, Young Ung(최영웅)Choi, Hee Jung(최희정)Jung, Yun Hwan(정윤환)Jeonghoon, Han(한정훈)Choi, Dong Mun(최동문)Lee, Young Wook(이영욱)Yoon, Bo Bae(윤보배)Jang, Seog Il(장석일)Park, Heung Sik(박흥식)Lee, Dae Won(이대원)Kim, Yoon Chil(김윤칠)Lee, Hyung Gon(이형곤)Lee, Taek Kyun(이택견)Jung, Seung Won(정승원)Park, Joon Sang(박준상)Kim, Hyun-Jung(김현정)Kang, Hyung Ku(강형구)Choi, Bo Gyoung(최보경)Kim, Han Jun(김한준)Kwon, Soo Jae(권수재)Oh, Jin Jin(오진규)Roh, Yoo Rim(노유림)Park, Mi-Jeong(박미정)Park, Yeong Jun(박영준)Yu, Ji Su(유지수)Yang, Ji In(양지인)Yu, Ji Hyun(유지현)Han, Gyeonghak(한경학)Lee, Won-Kyu(이원규)Ryu, Yong Kyun(유용균)Eom, Tae Yang(엄태양)Gang, Ye Hui(강예희)Hyeon, Ji Yeon(현지연)Marasinghe, Svini Dileepa(Svini)Hwang, Ji Won(황지원)Kim, Garam(김가람)Kim, Kang Eun(김강은)Weerasinghe, Pathiranage Jonathan(Weerasinghe, Pathiranage Jonathan)Kim, Taihun(김태훈)Kim, Myeong Ju(김명주)Song, Jin Ah(송진아)Kim, Min Ji(김민지)Na, Hye Yun(나혜윤)
Alternative Author(s)
권개경; 강성균; 이현숙; 김윤재; 임재규; 임형순; 이종민; 이성혁; 이정현; 염승식; 이성목; 안영준; 이경원; 양성현; 오철홍; 허수진; 강도형; 허성표; 김형직; 최운용; 허성영; 양현성; 김은아; 이영득; 강나래; 김준성; 조은영; 김태호; 박아름이; 이연지; 정윤식; 안소언; 박용주; 노충환; 오승용; 최영웅; 최희정; 정윤환; 한정훈; 최동문; 이영욱; 윤보배; 정유경; 장석일; 박흥식; 이대원; 김윤칠; 이형곤; 이택견; 정승원; 박준상; 김현정; 강형구; 최보경; 김한준; Namirimu; 권수재; 김한별; 권해준; 오진규; 노유림; 박미정; 박영준; 유지수; 조수아; 진혜인; 양지인; 유지현; 이선민; 이자넷; 김수진; 최아연; 한경학; 도혜림; 이원규; 유용균; 엄태양; 강예희; 현지연; Amarin; Svini; 김혁진; 황지원; 김가람; 정가을; Nguyen Khac Dat; 김강은; ANGKA MAHA; Jonathan; 김태훈; 최현아; 서서영; 이경태; 이지훈; 임현경; 우수현; 김명주; 송진아; 김민석; 김민지; 윤희주; 김민성; 김용진; 이태경; 김수인; 나혜윤; 최하람
Abstract
1. 연구개발목표
○ 해양ㆍ극한 생물자원을 활용한 산업소재 대량생산 플랫폼 구축 및 활용
- 비광합성 해양·극한 미생물 기반 가스전환 플랫폼 구축활용기술 개발
- 농축 고염분수 활용 기능성 해양생물원료 대량생산/산업소재 개발
- 수층별 서식범위에 따른 복합생물자원생산 및 이를 이용한 레저/관광 자원화 기반기술개발

2. 연구개발성과
○ 신규 미생물자원 확보
- 지속적 자가영양미생물 탐색을 통해 아세토젠 7종 10주, 메타노젠 2종 3주, 황산화 및 환원 5종 5주 등 신규 미생물 23종 27주 확보
- 확보 미생물로부터 3종의 신종 보고 및 1종 신속 발표 준비
- 자가영양미생물 4종 등 10종 12주의 유전체 해독을 통한 대사과정 이해
- 기 확보 미생물 2종의 C1 화합물 대사특성 규명 및 배지조성 최적화
○ 가스발효 OD 10<
- AWRP 균주의 개량과 배지 최적화 등을 통해 acetate 생산성 12 g/L/d 달성
- acetate 첨가를 통한 CO 발효 개선 : ethanol 232 mM, 2,3-BDO 23 mM 등 각각 2.9, 2.3배 증가 효과
- Hydrogenovibrio속 미생물의 배양조건 최적화를 통해 최대 OD 16.8 도달
- Clostridium sp. AWRP의 대사공학을 통해 가스로부터 신규 C3 화합물 생산 성공
- 가스 전환 미생물의 CRISPR/Cas12 유전체 편집 시스템 구축
○ 미세조류 배양 및 효능 연구
- 최대 30톤 규모 배양조에서 Dunaliella salina 58.0 ± 1.5 g/m2/d, Tetraselmis sp. 57.0 ± 1.2 g/m2/d의 생산성 달성
- 200L급 미세조류-미생물 하이브리드 배양조 제작 및 실용화 연구 수행 (미세조류 생산성 향상, 미생물 바이오에탄올 생산, 미생물 이산화탄소 저감 모델)
- Tetraselmis sp.으로부터 lutein을 주성분으로 하는 carotenoids 추출물을 제작하였고, 제작된 추출물은 항염증 효능이 우수하였으며 작용기전을 확인함
- Dunaliella salina의 polysaccharides 추출물은 galactose 및 glucose 함량이 높고 항산화 효능(IC50=4.3mg/ml)이 높게 나타났으며 작용기전을 확인함
- D. salina의 추출물은 피부 보호, 조골세포 분화기능도 보유함을 확인하고 이의 활용을 위한 창상치료 피복제 제작 평가
- 두 종류의 미세조류 추출물의 성분 분석, 독성 평가, 기능 평가 등 식약처 인증을 위한 자료 획득
○ 해조류 배양 및 효능 연구
- 1톤 규모 구멍갈파래 배양조 및 5톤 규모 우뭇가사리 배양조 각 2기 제작-배양
- 구멍갈파래 추출물, 원물 발효물, 추출물 발효물을 각각 제작하여 보습활성 측정결과 구멍갈파래 추출물 및 원물 발효물에서 보습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활성을 갖는 농도가 높아 추가실험 필요
- 구멍갈파래 발효물은 유방암 억제효과를 보임
- 구멍갈파래로부터 펙틴 추출공정을 확립하고 추출된 펙틴을 장 건강 활성측정을 위한 동물실험 진행결과 장 내 수분 흡수에 도움을 주어, 분변 중 수분함유량 증대 및 소화관 이동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변비 증상을 예방효능 확인. 염증을 촉진 시키는 인자인 TNF-α, IL-1β 및 NF-κB의 과발현을 구멍갈파래 펙틴이 개선시키는 효과를 확인
- 우뭇가사리로부터 효소발효물 제조 대량공정을 확립하고 획득된 산물의 기능성을평가한 결과 보습활성이 저농도에서 높게 나타났고(IC50=0.5mg/ml) 미백에도 효능을 나타냄
○ 해양미생물 배양 및 효능연구
- 고염에서 성장하는 미생물 3종에 대한 배양
- Pseudoalteromonas rubra 주정추출물은 섬유아세포에 대해 성장을 1.5배 증가시키고 콜라겐 합성능력을 1.8배 증가시킴
- Brevibacterium epidermidis 물추출물은 골세포 분화능력을 2.4배 증가시키고 골조직의 미네랄화 활성이 매우 높음
- Pseudoalteromonas xiamenensis는 생균 상태로 지브라피쉬 유생에 노출시 고온 및 질병저항력이 높아짐
- Zebra fish를 이용하여 위 미생물의 장내세균군집 안정화, 면역조절 등 기작 확인
○ 수층공간별 수질 환경 및 먹이생물 분포 특성
- 계절에 따른 기초 해양환경 변화 (수온, 염분, 먹이생물 등)에 따라 대상종의 양식 환경에 적합한 수층에 양식시설의 설치를 위한 연속 자료 확보
- 차세대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여 월별 수층공간별 식물플랑크톤 분포 특성 파악
- 연승식 심층 양식시설 설계 및 가리비 등의 양식에 시험 적용하여 심층 양식의 우수성을 확인
○ 병원체 진단기술 확립
- 차세대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여 월별 병원성 바이러스 분포 특성 및 출현 종 목록 작성하였으며 가리비를 대상으로도 감염 바이러스 목록 작성
- 양식장 인근 해역의 미생물 군집 변화 모니터링
- PCR 기반 바이러스 진단기술 개발
○ 양식어장 부착생물 관리방안- 양식장 주변 유생 발생 및 부착생물 출현 양상 파악
- 환경 조건, 수심 등에 따른 부착생물 강비 특성 파악
- 부착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저서동물 및 유생 분포 파악
○ 통영해역에서 활용 가능한 해중공원 모델 개념 설계 완료
○ 종합 성과 정리
- C1 가스 기반 연료, 산업 원료 생산과 관련하여 다수의 신규 자가영양미생물을 확보하였으며 연구팀 내 모델미생물로 Clostridium sp. AWRP의 적응진화 및 유전자 편집을 통한 개량, 배지 최적화, 배양기술 고도화 등을 통해 산물 다변화 및 조절, 최대 12 g/L/d의 아세트산 생산성 도달
- 고염해수를 이용한 대규모 미세조류 배양기술 확립과 추출물 제조 및 바이오매스의 발효 등을 통해 항염, 항산화, 항암 기능성 물질의 발굴 및 활용에 필요한 제반 정보를 준비함
- 관련 미생물의 조골세포 분화기능, 섬유아세포 성장 촉진, 모델 어류의 질병 저항 및 온도 내성 증가 등의 활용성 확인
- 해조류 펙틴의 창상 치료제로의 기능 검증 및 제형 개발
- 해양환경의 장기 모니터링, 먹이생물 및 부착생물 변동 등을 고려하여 연승식 양식 시설 설계, 설치, 시험평가 결과 가리비 양식에서 우수한 결과 확인
- 병원체 검출기술 확립 및 해중공간 활용을 위한 해중공원 개념도 작성

3.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비광합성 탄소고정 및 탄소대사 능 해양유래 우수 균주 확보로 응용기술 개발에 필요한 원천자원 및 기술 제공
○ 대사공학/합성생물학 기술을 이용하여 재조합 균주-유용물질 생산 시스템에 응용
○ 유용물질 생산 산업용 균주를 확보하여 국내 해양바이오기술 선진화
○ C1가스, 해양바이오매스로부터 유용물질생산 기술 개발에 적용
○ 농축 고염분수 기반 유용 해양생물자원의 안정적 대량생산 통한 산업화 기반 마련
○ 연안, 근해 해양생물자원증대 및 자원조성기술 사업에 활용
Sponsorship
한국해양과학기술원
Report No.
BSPEA0022-13402-3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43938
Type
Report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