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연안 해양환경 관측망 구축 연구

Title
제주 연안 해양환경 관측망 구축 연구
Author(s)
손영백; 이태희; 김형직; 권경만; 권순열; 양현성; 김태호; 강도형
KIOST Author(s)
Son, Young Baek(손영백)Lee, Tae Hee(이태희)Kim, Hyung Jeek(김형직)Kwon, Kyungman(권경만)Kwon, Soon Yeol(권순열)Yang, Hyun Sung(양현성)Kim, Tae Ho(김태호)Kang, Do Hyung(강도형)
Alternative Author(s)
손영백; 이태희; 김형직; 권경만; 권순열; 양현성; 김태호; 강도형
Publication Year
2022-11-02
Abstract
제주도 연근해는 전세계 해양에서 지난 30년 동안 가장 빨리 온난화가 진행된 5개 지역해 중 하나로 분류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역오염원 노출에 의한 연안의 심각한 부영양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동중국해는 한반도 주변의 쿠로시오-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해역으로 세계적으로 수온상승률이 가장 높을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 해역이다. 최근 들어 제주는 급격한 인구증가에 따른 인위적 육상오염원의 증가와 축적된 오염물질로 인한 해양환경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생물다양성 감소되고 있으며, 동시에 지구온난화에 따른 급격한 기후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제주도 주변해역은 수온 및 해수면의 상승, 저염수의 유입, 대마난류수의 확장, 해양의 산성화 등 해양환경 및 생태계의 변화를 빠르게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이상고수온 현상, 외래 기원 해양생물의 출현과 번식, 갯녹음 현상과 같은 다양한 해양기후·환경적 리스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제주는 외래기원 유해생물 대량 출현 및 아열대/열대생물의 유입 및 서식으로 생태계 이상 현상이 지속적으로 감지되고 있어 해양수산 분야의 위기가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는 지역이다. 따라서 제주도 주변 해역의 해양환경 및 생태계 변화의 전반적인 양상을 자료화하고 예측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연구뿐만 아니라 유입 해양생물의 인체 위험성 및 자원학적 활용 연구 또한 필요한 실정이다.
기후변화 및 해양환경변화에 따른 제주 해양생태계 및 해양환경 대변화에 대응을 위한 다중 플랫폼 구축 및 활용을 위해서는 1)제주 연안 해양환경 현황 분석과 문제점 도출, 2)다중플랫폼 구축을 통한 지속적 자료 수집 체계 구축, 3)다중인자융합 모델링 기술을 이용한 대응 및 저감 방안 도출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43409
Bibliographic Citation
2022년도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 2022
Publisher
한국해양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