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태평양 마젤란 해산 정상부 해면에 침전된 철망간 산화물의 광물학적 생지화학적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박규영 -
dc.contributor.author 박진섭 -
dc.contributor.author 정재우 -
dc.contributor.author 이용문 -
dc.contributor.author 양기호 -
dc.date.accessioned 2022-09-26T01:54:24Z -
dc.date.available 2022-09-26T01:54:24Z -
dc.date.created 2022-08-29 -
dc.date.issued 2022-08-25 -
dc.identifier.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43186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료는 서태평양 마젤란 해산 정상부 ( 에 존재하는 해면에 철망간 산화물이 침전된 시료이다 . 이와 같은 비정형의 시료는 수 mm/ Myr 의 느린 속도로 침전되는 철망간 산화물과 해면 사후 골격의 형태가 보존되기 어렵기에 광물학적 , 지화학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 또한 철망간 산화물의 두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기에 망간단괴 , 망간각에 비해 최근의 산화 환원 환경 , 생산성과 같은 해양환경 인자의 변동을 반영하고 있을 것이며 널리 알려진 해면 내 공생 미생물의 존재로 인해 철망간 산화물이 침전될 때 미생물의 작용이 존재할 것으로 생각된다 . 철망간 산화물의 침전시기를 확인하기 위해 Micro CT 로 철망간 산화물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해면에 침전된 철망간 산화물의 생성기원과 성장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한 지화학적 분석으로는 2 차원적 원소 분포 분석 방법인 μ XRF 를 통해 주요 원소 분포 및 정량 분석하였고 철망간 산화물의 성장 메커니즘과 Mn/Fe 비율로 수성 속성 기원 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철망간 산화물의 광물학적 분석은 HR XRD 를 통해 철망간 산화 광물 종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해면 내 공생하는 미생물에 의한 생광물화의 흔적을 보고자 SEM EDS 를 사용하였다 . 해면의 종 동정은 보존 상태로 인해 골편의 형태를 통해 진행하지 않고 시료의 겉모습 , 분석한 데이터와 연구지역의 특징들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통해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광물학적 , 생지화학적 분석을 통해 비정형으로 나타난 시료 분석의 접근법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dc.description.uri 2 -
dc.publisher 한국해양학회 -
dc.title 서태평양 마젤란 해산 정상부 해면에 침전된 철망간 산화물의 광물학적 생지화학적 분석 -
dc.type Conference -
dc.citation.conferenceDate 2022-08-25 -
dc.citation.conferencePlace KO -
dc.citation.conferencePlace KIOST -
dc.citation.title 2022년도 한국해양학회 해양지질 분과 세미나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정재우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2022년도 한국해양학회 해양지질 분과 세미나 -
dc.description.journalClass 2 -
Appears in Collections:
Marine Resources &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 Ocean Geo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 2. Conference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