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안해양위성 연속자료 구축을 위한 GOCI-II 임무 초기 주요 해색산출물의 GOCI 자료와 비교 분석 SCOPUS KCI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박명숙 | - |
dc.contributor.author | 정한철 | - |
dc.contributor.author | 이선주 | - |
dc.contributor.author | 안재현 | - |
dc.contributor.author | 배수정 | - |
dc.contributor.author | 최종국 | - |
dc.date.accessioned | 2022-01-19T10:34:22Z | - |
dc.date.available | 2022-01-19T10:34:22Z | - |
dc.date.created | 2021-11-08 | - |
dc.date.issued | 2021-10 | - |
dc.identifier.issn | 1225-6161 | - |
dc.identifier.uri |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42128 | - |
dc.description.abstract | 최근 GOCI-II 위성이 발사되면서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약 20년 동안 정지궤도상에 있는 천리안 해양위성 시리즈(GOCI, GOCI-II)를 운용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GOCI-II 주요 해색산출물인 엽록소-a 농도(Chl-a), 유색용존유기물(CDOM), 원격반사도(Rrs)를 GOCI 자료와 비교 분석하여, 위성 임무초기 산출물의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천리안 해양위성 시리즈 데이터 구축을 위한 알고리즘 개선 방향을 논의한다. 2020년황해, 남해, 울릉분지에서 GOCI-II의 엽록소-a 농도의 공간적인 분포는 GOCI 뿐 아니라 MODIS와도 잘 일치한다(상관계수: 0.83 이상). 특히, 여름철 울릉 분지 영역에서는GOCI와GOCI-II 자료의 엽록소-a 농도는 RMSE 도 낮으며(~0.08), 편향성(Systematic Bias)도 거의 없었다. 선택된 모든 영역에서 490 nm와 555 nm 원격반사도는GOCI와 GOCI-II 간 불확도가 낮고, 유사한 경향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남해와 황해의 443 nm 원격반사도의경우 GOCI-II가 GOCI에 비해 과소추정하여, 엽록소-a 농도와 유색용존유기물의 과다추정을 유도한다. 또한, 660 nm 원격반사도의 경우에도 systematic bias가 나타나 총부유입자 산출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GOCI-II 자료는 기본적으로 GOCI나 MODIS와 잘 일치하고 있어, 해양환경 관측을 위한 기본적인 신뢰도는 확보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향후 GOCI-II 복사보정, 산출물 검보정, 알고리즘 개선으로 자료의 정량적인 정확도를 개선하는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20년간 천리안 해양위성자료의 일괄적 재처리로 GOCI, GOCI-II 연속성이 보장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 |
dc.description.uri | 2 | - |
dc.language | Korean | - |
dc.publisher | 대한원격탐사학회 | - |
dc.title | 천리안해양위성 연속자료 구축을 위한 GOCI-II 임무 초기 주요 해색산출물의 GOCI 자료와 비교 분석 | - |
dc.title.alternative | The GOCI-II Early Mission Ocean Color Products in Comparison with the GOCI Toward the Continuity of Chollian Multi-satellite Ocean Color Data | - |
dc.type | Article | - |
dc.citation.endPage | 1293 | - |
dc.citation.startPage | 1281 | - |
dc.citation.title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dc.citation.volume | 37 | - |
dc.citation.number | 5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박명숙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정한철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이선주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안재현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배수정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최종국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7, no.5, pp.1281 - 1293 | - |
dc.identifier.doi | 10.7780/kjrs.2021.37.5.2.6 | - |
dc.identifier.scopusid | 2-s2.0-85120578265 | - |
dc.identifier.kciid | ART002771308 | - |
dc.description.journalClass | 2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subject.keywordAuthor | GOCI-II | - |
dc.subject.keywordAuthor | GO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Chlorophyll-a concentra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CDOM | - |
dc.subject.keywordAuthor | Radiometric Calibratio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scopus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