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주변 탄산염퇴적물의 분포와 성인: 예비조사 결과 KCI

Title
독도주변 탄산염퇴적물의 분포와 성인: 예비조사 결과
Alternative Title
Distribution and Origin of Carbonate Sediments near Dok Island: Preliminary Study
Author(s)
우경식; 지효선; 김련; 전진아; 박재석; 박흥식; 김동선; 박찬홍
KIOST Author(s)
Park, Heung Sik(박흥식)Kim, Dong Seon(김동선)Park, Chan Hong(박찬홍)
Alternative Author(s)
박재석; 박흥식; 김동선; 박찬홍
Publication Year
2009-08
Abstract
독도 주변 퇴적물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퇴적물의 기원과 퇴적상을 조사하였다. 퇴적물은 독도를 이루는 화산기원의 암편과 천해에서 서식하고 있는 여러 생물에 의해 생성된 탄산염퇴적물로 구성된다. 대부분 탄산염입자와 화산암편으로 이루어진 퇴적물 중에서 탄산염입자는 연체동물(이매패류와 복족류), 덮개상과 가지상 태선동물, 덮개상과 마디상 홍조류, 유공충, 해면동물, 환형동물, 극피류(성게류), 절지동물(따개비류), 규조류 등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퇴적물 내 구성요소의 상대적 함량의 차이는 주로 수심에 의해 구분되지만 비슷한 수심구간 내에서도 지역적으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특히 독도 주변의 퇴적물은 전형적인 냉수성 탄산염퇴적물(cool water carbonates)의 성분을 보여주며, 수심별로 뚜렷한 퇴적상의 변화를 보인다. 독도 주변 퇴적물은 수심에 따른 구성요소 함량의 차이와 입자의 크기에 의해 크게 5개의 퇴적상으로 구분된다. 이들은 해안퇴적상(20 m 이내의 천해퇴적물), 천해퇴적상(20~100 m 구간의 천해퇴적물), 상부 전이퇴적상(100~200 m의 퇴적물), 하부 전이퇴적상(200~700 m의 퇴적물), 그리고 반원양퇴적상(700 m 이상의 반원양성 퇴적물)이다. 수심 2,000 m 이상의 퇴적물 내에도 약 10~20%의 탄산염퇴적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독도 주변 해역의 탄산염보상심도가 이보다 더 깊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

Based on the constituent analysis of sediments near Dok Island, the origin and sedimentary facies were Investigated. The sediments are mainly from originated from volcanic and volcaniclastic rock fragments derived from Dok Island and carbonate sediments formed by a variety of shallow-dwelling organisms that secreted calcareous skeletons. Carbonate producers include mollusks (bivalves and gastropods), encrusting & branching bryozoans, encrusting & segmented red algae, worm tubes, barnacles, diatoms, sponge spicules and echinoderm fragments. The distribution and relative amount of these constituents are basically dependent upon water depth and grain size even though local variations can be observed within the same depth interval. Five sedimentary facies can be divided: nearshore facies ( 20∼100m ), upper transitional facies ( 100∼200m ), lower transitional facies ( 200∼700m ), and hemipelagic facies (>700 m). The sediments that were sampled below the water depth of 2,000 m still contain a significant amount of carbonates (ca. 10∼20 ), implying that the carbonate compensation depth in the East Sea may well exceed this water depth.
ISSN
1226-2978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3690
Bibliographic Citation
바다, v.14, no.3, pp.171 - 180, 2009
Publisher
한국해양학회
Keywords
Sedimantary Facies; East Sea; Carbonate Compensation Depth; Cool Water Carbonates; Dok Island
Type
Articl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