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기능성 회복을 위한 퇴적/물리/생태학적 핵심 환경요소 연구

Title
갯벌기능성 회복을 위한 퇴적/물리/생태학적 핵심 환경요소 연구
Alternative Title
Studies on sediments, waters and biota to understand major environmental factors in rehabilitation of degraded tidal flats
Principal Investigator
이희준
Author(s)
이희준; 이상훈; 박영길; 구본주; 유주형; 이석; 조철호; 송규민; 노재훈; 김동선; 최상화; 권개경; 장영석; 우한준; 정갑식; 권수재; 장석; 최종국; 엄진아; 기진석; 김현진; 이정민; 오경희; 심진경; 최동한; 김선화; 이화영; 김경희; 정진현; 조혜연; 김성한; 박은석; 조진형; 이준호; 이승용; 이은혜; 박신영; 신상호; 이하얀; 이탁훈; 정다슬; 정종민; 이수환; 박유나; 함미선; 박숭환; 최휘영; 김주호; 이루다; 장은희
KIOST Author(s)
Lee, Sang Hoon(이상훈)Koo, Bon Joo(구본주)Ryu, Joo Hyung(유주형)Lee, Seok(이석)Cho, Cheol Ho(조철호)Song, Kyu Min(송규민)Kim, Dong Seon(김동선)Choi, Sang Hwa(최상화)Kwon, Kae Kyoung(권개경)Jang, Young Suk(장영석)Woo, Han Jun(우한준)Jang, Seok(장석)Choi, Jong Kuk(최종국)Oh, Kyung Hee(오경희)Choi, Dong Han(최동한)Kim, Sung Han(김성한)Cho, Jin Hyung(조진형)Lee, Jun-Ho(이준호)Lee, Seung Yong(이승용)Jeong, Jong Min(정종민)Lee, Su Hwan(이수환)Park, Sung Hwan(박숭환)
Alternative Author(s)
이희준; 이상훈; 박영길; 구본주; 유주형; 이석; 조철호; 송규민; 노재훈; 김동선; 최상화; 권개경; 장영석; 우한준; 정갑식; 권수재; 장석; 최종국; 엄진아; 기진석; 김현진; 이정민; 오경희; 심진경; 최동한; 김선화; 이화영; 김경희; 정진현; 조혜연; 김성한; 박은석; 조진형; 이준호; 이승용; 이은혜; 박신영; 신상호; 이하얀; 이탁훈; 정다슬; 정종민; 이수환; 박유나; 함미선; 박숭환; 최휘영; 김주호; 이루다; 장은희
Abstract
- 근소만 조간대 표층은 주로 펄모래 퇴적상로 구성; 조하대 표층은 겨울철에 실트모래 퇴적상; 여름철에 펄모래 퇴적상; 서부는 퇴적, 동부는 침식이 우세
- 근소만 내부에서 부유퇴적물은 반시계방향으로 순환·이동하는 양상을 보임; 근소만 입구의 중앙과 남동쪽에 있는 주수로를 따라 부유퇴적물이 만 내부로 유입되고 만 입구의 북동쪽을 따라 부유퇴적물이만 외부로 유출됨; 부유퇴적물은 농도는 겨울에 높게 나타남
- 강화 동검 동부 갯벌은 펄 퇴적물로 구성; 북 또는 북서방향으로 부유퇴적물 이동이 우세함; 조사기간동안 침식이 우세
- 시화갯벌의 부유퇴적물 이동은 갑문의 개폐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주로 시화호 안쪽으로 부유퇴적물이 이동됨; 시화갯벌 표층퇴적물 중금속 함량은 산휘발성황화물을 제외하고 초과기준을 넘지 않음
- 고해상도 원격탐사 자료를 기반으로 추출된 조류로와 표층 퇴적상 간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표층 퇴적상 분포도의 정밀도를 향상시킴; 갯벌에서 염생식물 순군락의 소멸과 관련한 지형변화 요인 파악을 위해 장단기 지형고도 변화 분석을 시도함
- 근소만 수치모델을 통해 만 내부의 조석잔차류는 5cm/s이하로 약하며, 지형의 영향으로 인해 복잡한 해수순환 양상을 보이고 조간대 해수교환율은 북동부보다 남동부가 빠르게 나타남
- 근소만 갯벌퇴적물은 표층가열과 냉각에 의한 온도구배를 보임
- 갯벌 생물교란 활동은 일련의 생지화학적 과정에 영향을 주어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분해력이 증가
- 근소만 갯벌에서 바지락의 성장과 어획에 의해 년간 약 375톤의 C가 갯벌에서 제거됨
- 훼손된 시화갯벌의 저서동물 군집은 자연상태의 갯벌과 비교하여 단순한 군집구조를 보임
- 근소만은 연안해경의 영양염 순환에 있어서 암모니와 규산염의 공급원, 질산염의 제거원으로 작용
- 근소만 갯벌의 유기물 분해경로와 비중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갯벌 건강성 평가 기준에 대한 제시 가능
- 자연갯벌인 근소만과 달리 시화갯벌 저층퇴적물은 여름철에 주로 황산염 환원에 의한 유기물 분해가 일어남
- 저서미세조류에 의한 시화갯벌의 일차생산력은 근소만 저서 일차생산력의 약 50%임: 시화갯벌의 퇴적물 산소 소모율과 저층 암모니아 유출량은 근소만보다 크게 나타남
- 조석작용을 고려한 근소만의 하루 일차생산력은 138.8±72.8 mgCm-2d-1이며, 침수시에 일차생산력은 전체 일차생산력의 약 22%임
- 2010년 현재 동검도 동부 갈대군락은 현상유지하거나 미세하게 증가; 칠면초 군락은 저토의 수분부족으로 형성 불가능
Sponsorship
한국해양과학기술원
Report No.
BSPE98462-2253-5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36531
Type
Report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