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주요 국제항 운전 경로를 가진 선박에 설치된 BWMS 성능 평가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Jang, Pung Guk | - |
dc.contributor.author | Hyun, BongGil | - |
dc.contributor.author | Jang, MinChel | - |
dc.date.accessioned | 2020-07-29T06:50:03Z | - |
dc.date.available | 2020-07-29T06:50:03Z | - |
dc.date.created | 2020-07-29 | - |
dc.date.issued | 2020-07-24 | - |
dc.identifier.uri |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32893 | - |
dc.description.abstract | 국제해사기구는 선박평형수관리협약(BWMSC)의 이행으로 국제 항만에서 실제적으로 선박평형수처리장치(BWMS) 운전과 BWMC가 잘 이행되는지를 보기 위한 경험축적기(EBP)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유물질 조건이 최악인 중국 상해를 포함한 동남아시아를 운항하는 선박에 설치된 BWMS에 대한 선상시험을 수행했다. BWMS 운전이 가능한 지역에서 5번의 선상 시험 모두 선박평형수처리 기준인 D-2를 만족했다. 그러나 상해항에서 2개 타입의 BWMS로 운전을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이는 부유물질이 높고, 담수 지역인 상해 지역에서 필터 막힘 현상과 목표 총잔류산화물농도(TRO)가 생성되지 않아 BWMS가 운전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부유물질이 높은 지역에서 필터를 가진 BWMS을 운전 시, sea to sea 방법으로 탁도(NTU)를 측정하여 탁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ballasting 시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배출 시 필터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전기 분해 장치를 가진 BWMS는 부분 평형수 탱크 운영 방법을 이용하여 탱크 내 잔류 TRO 농도를 유지시킴으로써 IMO D-2 기준을 보다 더 잘 만족시킬 수 있을 것 판단된다. | - |
dc.description.uri | 2 | - |
dc.language | Korean | - |
dc.publisher | (사)한국산학기술학회 | - |
dc.relation.isPartOf | 2020년 한국산학기술학회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 - |
dc.title | 중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주요 국제항 운전 경로를 가진 선박에 설치된 BWMS 성능 평가 | - |
dc.title.alternative | Performance evaluation of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installed on ships with major international ports in the Southeast Asia including China | - |
dc.type | Conference | - |
dc.citation.conferenceDate | 2020-07-24 | - |
dc.citation.conferencePlace | KO | - |
dc.citation.conferencePlace | 제주컨벤션센터 | - |
dc.citation.endPage | 222 | - |
dc.citation.startPage | 219 | - |
dc.citation.title |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 춘계학술대회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장풍국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현봉길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장민철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 춘계학술대회, pp.219 - 222 | - |
dc.description.journalClass | 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