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해역의 유기탄소 동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박준건 -
dc.contributor.author 김은수 -
dc.contributor.author 조성록 -
dc.contributor.author 김경태 -
dc.date.accessioned 2020-07-17T11:50:26Z -
dc.date.available 2020-07-17T11:50:26Z -
dc.date.created 2020-02-11 -
dc.date.issued 2003-11-27 -
dc.identifier.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32031 -
dc.description.abstract 새만금 해역에서 입자성 부유물질 및 유기탄소 분포에 관한 연구가 2003년 2월, 5월, 7월, 8월에 이루어졌다. 갈수기인 2, 5월과 풍수기인 7, 8월에 만경강 및 동진강을 통한 담수 유입량의 차이는 매우 컸으며, 용존유기탄소의 유입량은 갈수기와 풍수기에 각각 약 14 ton/day와 313 ton/day였으며, 입자성유기탄소의 유입량은 갈수기와 풍수기 각각 약 17 ton/day와 979 ton/day로 나타났다. 특히 많은 강우가 집중되었던 7월에 방조제 내측의 용존 유기탄소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해역에서의 용존 유기탄소 분포는 염분에 대해 보존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대부분 물리적인 요인인 담수와 해수사이의 희석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자성 유기탄소 분포는 부유물질의 분포와 상당히 유사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대부분 염분이 5-15 psu 사이인 방조제 내측 해역에서 퇴적물로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새만금 해역이 폐쇄환경으로 전환될 경우 다량으로 유입된 유기물은 무기물로의 전환을 위해 요구되는 용존산소를 소모하게 되어 방조제 내측 수괴에 저산소 상태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dc.description.uri 2 -
dc.language Korean -
dc.publisher 한국해양환경공학회 -
dc.relation.isPartOf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dc.title 새만금 해역의 유기탄소 동태 -
dc.title.alternative Dynamics of organic carbon in Saemanguem Area -
dc.type Conference -
dc.citation.conferencePlace KO -
dc.citation.endPage 7 -
dc.citation.startPage 3 -
dc.citation.title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박준건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김은수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조성록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김경태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pp.3 - 7 -
dc.description.journalClass 2 -
Appears in Collections:
Marine Resources &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 2. Conference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