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R 자료와 강화갯벌 퇴적환경 요인의 상관성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계림 -
dc.contributor.author 유주형 -
dc.contributor.author 김상완 -
dc.contributor.author 홍상훈 -
dc.date.accessioned 2020-07-17T01:51:18Z -
dc.date.available 2020-07-17T01:51:18Z -
dc.date.created 2020-02-11 -
dc.date.issued 2008-04-23 -
dc.identifier.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30061 -
dc.description.abstract 강화도 갯벌은 모래, 펄, 혼합갯벌 등 다양한 종류의 갯벌이 광역적으로 존재한다. 강화도 갯벌 퇴적물은 생물에 의하여 교란되어 있고, 계절에 따라 퇴적과 침식이 반복되어 변화가 많으며 인천 국제공항 건설 등 인위적인 개발로 훼손 가능성이 높다. 또한 남북한 경계지역이며 전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만을 형성한 지역으로 퇴적환경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강화도 갯벌로부터 산란되어 돌아오는 후방산란은 조간대의 함수율, 퇴적상, 지형과 생물체 등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지표면의 기하, 거칠기, 수분 함유량 등에 민감한 SAR 자료인 ERS-2, ENVISAT, JERS-1, ALOS 영상으로부터 coherence 와 후방산란계수를 계산하고 광학위성으로부터 획득한 자료와 현장관측자료를 비교하여 갯벌 퇴적환경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강화도 갯벌의 퇴적환경 특성을 분석한다.SAR영상으로부터 획득한 coherence와 후방산란계수의 분석을 통해 후방산란과 퇴적물 입도와의 상관성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입도가 클수록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sand가 많이 함유된 곳은 후방산란이 많아 영상에서 밝게 나타난다. 하지만 후방산란은 수분함량과 지형에도 관계가 있다. 또한 입도가 클수록 입자 사이의 점착력이 작아져 조석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 sand 함유량이 많은 갯벌일수록 많은 퇴적변화를 일으켜 coherence가 낮다. -
dc.description.uri 2 -
dc.language Korean -
dc.publisher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dc.relation.isPartOf 2008년 춘계 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 -
dc.title SAR 자료와 강화갯벌 퇴적환경 요인의 상관성 분석 -
dc.title.alternativ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AR data and environment factors of Ganghwa tidal flat -
dc.type Conference -
dc.citation.conferencePlace KO -
dc.citation.endPage 216 -
dc.citation.startPage 216 -
dc.citation.title 2008년 춘계 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김계림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유주형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2008년 춘계 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 pp.216 -
dc.description.journalClass 2 -
Appears in Collections:
Marine Digital Resources Department > Korea Ocean Satellite Center > 2. Conference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