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만에서 영양염 첨가에 의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반응 및 영양염 제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배시우 -
dc.contributor.author 백승호 -
dc.contributor.author 손문호 -
dc.contributor.author 김영옥 -
dc.date.accessioned 2020-07-16T09:30:11Z -
dc.date.available 2020-07-16T09:30:11Z -
dc.date.created 2020-02-11 -
dc.date.issued 2013-05-23 -
dc.identifier.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7020 -
dc.description.abstract 식물플랑크톤의 성장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광양만(10개 정점)에서 채집한 식물플랑크톤으로 +N (질산염20 μM), +P (인산염2μM), +NP(질산염20 μM 인산염2μM)을 주입하여 Bioassay를 수행하였고, 현장자료와 비교하여 영양염 제한 인자를 파악하였다. 광양만에서는 정점별로 큰 폭의 성장능력 차이를 보였고, 질산염+인산염 실험구가 질산염이나 인산염을 주입한 실험구에 비해 높은 성장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인산염을 주입한 실험구가 질산염, 질산염+인산염을 주입한 실험구보다 낮은 성장을 나타내었고, 질산염을 주입한 실험구가 질산염+인산염을 주입한 실험구에 비해 평균 0.5배로 낮은 성장능력을 보였다. 정점별로는 섬진강 하구와 산업시설이 밀집된 지역과 교차하는 정점 8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나타낸 반면, 묘도의 남측 해역인 정점 4와 정점 9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Bioassay와 광양만, 진해만의 현장자료를 비교한 결과, 정점 8(광양만)의 현장자료에서 DIN(dissolved inorganic nitrogen) 농도가 각각 1.11 &micro M로 가장 낮게 나타나, 각 해역에서의 현장에서의 영양염 농도변화가 Bioassay의 식물플랑크톤의 영양염 uptake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Bioassay를 통해 광양만에서 낮은 영양염 조건의 해역에서 질산염 첨가는 식물플랑크톤의 높은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은 광양만에서 질산염의 제한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
dc.description.uri 2 -
dc.language Korean -
dc.publisher 한국해양학회 -
dc.relation.isPartOf 한국해양학회 -
dc.title 광양만에서 영양염 첨가에 의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반응 및 영양염 제한 -
dc.type Conference -
dc.citation.conferencePlace KO -
dc.citation.endPage 407 -
dc.citation.startPage 407 -
dc.citation.title 한국해양학회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배시우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백승호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손문호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김영옥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한국해양학회, pp.407 -
dc.description.journalClass 2 -
Appears in Collections:
Ocean Climate Solutions Research Division > Ocean Climate Response & Ecosystem Research Department > 2. Conference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