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조하대 주변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양범식 -
dc.contributor.author 서진영 -
dc.contributor.author 김정현 -
dc.contributor.author 최진우 -
dc.date.accessioned 2020-07-16T00:32:22Z -
dc.date.available 2020-07-16T00:32:22Z -
dc.date.created 2020-02-11 -
dc.date.issued 2015-08-26 -
dc.identifier.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5330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 개체수, 생물량 등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2013년 2월부터 2014년 11월까지 2년간 계절 조사를 수행하였다. 대형저서동물 채집은 총 8개 정점에서 수행되었고, van Veen grab(0.1m2)을 이용하여 정점당 2회씩 실시하였다. 생물채집과 동일시기에 퇴적물을 채집하여 입도분석과 총유기탄소 함량을 구하였다. 본 연구해역의 퇴적상은 2013년에 2.02-10.11Φ, 2014년에 2.73-9.83Φ의 범위로 나타나 연안에서 사질이 우세하였고 외해로 갈수록 니질이 우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유기탄소 함량은 2013년에 0.06-1.25%, 2014년에 0.04-1.09%의 범위로 나타났고, 연안에서 외해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낙동강 조하대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69-94종, 69-97종의 범위를 보였고, 서식밀도는 2013년에 428-3,423 ind. m-2, 2014년에 518-809 ind. m-2의 범위로 나타났다. 출현종수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서식밀도는 2013년 8월에 기회종인 Pseudopolydora sp.가 연안에 인접한 정점들에서 일시적으로 대량 출현하여 높게 나타났다. 생물량은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121.2-240.9 g wet m-2, 66.7-259.7 g wet m-2의 범위를 보였고, 모두 5월에 높게 나타났다. 생물량은 외해역에서 극피동물의 모래무치염통성게 (Echinocardium cordatum)에 의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해역에서는 저서다모류인 Sternaspis scutata, Magelona japonica, Heteromastus filiformis 등이 모든 계절에 우점하였고, 2013년 8월에만 다모류의 일종인 Pseudopolydora sp.가 우점하였는데, 이는 여름철 집중호우와 낙동강 방류로 인해 기회종이 운반되어 일시적으로 우점 이용하여 정점당 2회씩 실시하였다. 생물채집과 동일시기에 퇴적물을 채집하여 입도분석과 총유기탄소 함량을 구하였다. 본 연구해역의 퇴적상은 2013년에 2.02-10.11Φ, 2014년에 2.73-9.83Φ의 범위로 나타나 연안에서 사질이 우세하였고 외해로 갈수록 니질이 우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유기탄소 함량은 2013년에 0.06-1.25%, 2014년에 0.04-1.09%의 범위로 나타났고, 연안에서 외해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낙동강 조하대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69-94종, 69-97종의 범위를 보였고, 서식밀도는 2013년에 428-3,423 ind. m-2, 2014년에 518-809 ind. m-2의 범위로 나타났다. 출현종수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서식밀도는 2013년 8월에 기회종인 Pseudopolydora sp.가 연안에 인접한 정점들에서 일시적으로 대량 출현하여 높게 나타났다. 생물량은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121.2-240.9 g wet m-2, 66.7-259.7 g wet m-2의 범위를 보였고, 모두 5월에 높게 나타났다. 생물량은 외해역에서 극피동물의 모래무치염통성게 (Echinocardium cordatum)에 의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해역에서는 저서다모류인 Sternaspis scutata, Magelona japonica, Heteromastus filiformis 등이 모든 계절에 우점하였고, 2013년 8월에만 다모류의 일종인 Pseudopolydora sp.가 우점하였는데, 이는 여름철 집중호우와 낙동강 방류로 인해 기회종이 운반되어 일시적으로 우점 -
dc.description.uri 2 -
dc.language Korean -
dc.publisher 한국환경생물학회 -
dc.relation.isPartOf 한국환경생물학회 -
dc.title 낙동강 조하대 주변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
dc.type Conference -
dc.citation.conferencePlace KO -
dc.citation.endPage 82 -
dc.citation.startPage 82 -
dc.citation.title 한국환경생물학회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양범식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서진영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김정현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최진우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한국환경생물학회, pp.82 -
dc.description.journalClass 2 -
Appears in Collections:
South Sea Research Institute > Ballast Water Research Center > 2. Conference Papers
South Sea Research Institute > Risk Assessment Research Center > 2. Conference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