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화학적 살조물질에 의한 유해적조생물의 생리학적 영향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손문호 -
dc.contributor.author 이민지 -
dc.contributor.author 백승호 -
dc.date.accessioned 2020-07-15T22:32:18Z -
dc.date.available 2020-07-15T22:32:18Z -
dc.date.created 2020-02-11 -
dc.date.issued 2016-02-26 -
dc.identifier.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4935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는 신규로 제작된 화학적 살조물질 처리에 따라 유해적조생물의 생리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고, 추후 화학적 처리 효율의 검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신규 화학적 처리 물질로는 Thiazolidinedione(TD) 유도체 TD49, TD93, TD102, TD105와 살조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NaClO를 이용하였다. 대상생물은 와편모조류 Cochlodinium polykrikoides, Prorcentrum sp., 침편모조류 Chatonella marina, 은편모조류 Rodomonas salina로 선정하였다. 처리물질의 농도는 0.1, 0.5 μM 이었으며, 24, 48시간에 노출된 대상생물의 세포내 효소활성, 광합성 활성, 엽록소 a 함량을 분석하여, 영향을 평가하였다. C. polykrikoides은 TD 유도체(TD49, 102, 105) 0.1μM 처리시 24시간째에는 효소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나, 광합성 활성과 엽록소 함량이 감소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TD93과 TD105는 0.5 μM 48시간 처리시 광합성 활성과 엽록소 a 함량이 대조군 대비 90% 이상 감소되었다. Prorcentrum sp.,는 TD 유도체와 NaClO 처리시 24시간째에 효소활성이 대조군 보다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나, 48시간째에 저해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엽록소 a의 감소는 TD93과 TD105의 0.5 μM 처리군에서 75% 이상을 보였고, 광합성 활성은 TD49, TD93, TD105의 0.5 μM 처리군에서 92% 이상의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C. marina에서 살조물질 처리에 의한 효소활성이 48시간째에 감소하여, Prorocentrum sp.과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반면 엽록소 a 함량은 TD93, TD102, TD105의 0.5 μM 처리군에서 77% 이상의 감소율을 보였고, 광합성 활성은 0.5 μM로 처리한 모든 TD 유도체에서 76% 이TD49, TD93, TD102, TD105와 살조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NaClO를 이용하였다. 대상생물은 와편모조류 Cochlodinium polykrikoides, Prorcentrum sp., 침편모조류 Chatonella marina, 은편모조류 Rodomonas salina로 선정하였다. 처리물질의 농도는 0.1, 0.5 μM 이었으며, 24, 48시간에 노출된 대상생물의 세포내 효소활성, 광합성 활성, 엽록소 a 함량을 분석하여, 영향을 평가하였다. C. polykrikoides은 TD 유도체(TD49, 102, 105) 0.1μM 처리시 24시간째에는 효소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나, 광합성 활성과 엽록소 함량이 감소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TD93과 TD105는 0.5 μM 48시간 처리시 광합성 활성과 엽록소 a 함량이 대조군 대비 90% 이상 감소되었다. Prorcentrum sp.,는 TD 유도체와 NaClO 처리시 24시간째에 효소활성이 대조군 보다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나, 48시간째에 저해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엽록소 a의 감소는 TD93과 TD105의 0.5 μM 처리군에서 75% 이상을 보였고, 광합성 활성은 TD49, TD93, TD105의 0.5 μM 처리군에서 92% 이상의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C. marina에서 살조물질 처리에 의한 효소활성이 48시간째에 감소하여, Prorocentrum sp.과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반면 엽록소 a 함량은 TD93, TD102, TD105의 0.5 μM 처리군에서 77% 이상의 감소율을 보였고, 광합성 활성은 0.5 μM로 처리한 모든 TD 유도체에서 76% 이 -
dc.description.uri 2 -
dc.language Korean -
dc.publisher 한국생태환경과학협의회 -
dc.relation.isPartOf 한국생태환경과학협의회 -
dc.title 신규 화학적 살조물질에 의한 유해적조생물의 생리학적 영향 연구 -
dc.type Conference -
dc.citation.conferencePlace KO -
dc.citation.endPage 308 -
dc.citation.startPage 308 -
dc.citation.title 한국생태환경과학협의회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이민지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백승호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한국생태환경과학협의회, pp.308 -
dc.description.journalClass 2 -
Appears in Collections:
South Sea Research Institute > Risk Assessment Research Center > 2. Conference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