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해상도 원격탐사자료를 활용한 황도 갯벌의 대축척 표층 퇴적상 분류 방법

Title
고해상도 원격탐사자료를 활용한 황도 갯벌의 대축척 표층 퇴적상 분류 방법
Alternative Title
Large-scale classification of surface sediments using the high resolution remotely sensed data on Hwang-do tidal flat
Author(s)
김계림; 유주형; 이윤경; 김범준
KIOST Author(s)
Kim, Kye-Lim(김계림)Ryu, Joo Hyung(유주형)
Alternative Author(s)
김계림; 유주형; 이윤경; 김범준
Publication Year
2016-08-25
Abstract
벌의 퇴적상을 공간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갯벌 환경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기존에는 갯벌의 퇴적상 분포를 분석하기 위해 현장관측 및 위성자료를 활용한 입자에 따른 광학반사도 특성을 분석하여 Folk 방법으로 분류하였는데, 공간해상도와 스펙트럼 해상도의 한계에 의해 표층 퇴적상을 세분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황도 갯벌에서 약 2km2 의 테스트 영역을 선정하여 120m 간격의 232개의 입자 샘플로부터 조직함량에 따른 입도(∅ ) 분포를 분석하였고, 수 cm의 공간해상도를 갖는 무인항공기 자료(정사영상, 지형고도모델)와 RTK-GPS 관측을 통하여 조류로 네트워크, 조류로 밀도도, 지형고도 등의 지형정보를 추출하였다. 분석한 입도 분포와 지형인자 및 스펙트럼 특성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대축척의 표층 퇴적상 분류 가능성과 효과적인 분류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와 스펙트럼 해상도의 한계에 의해 표층 퇴적상을 세분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황도 갯벌에서 약 2km2 의 테스트 영역을 선정하여 120m 간격의 232개의 입자 샘플로부터 조직함량에 따른 입도(∅ ) 분포를 분석하였고, 수 cm의 공간해상도를 갖는 무인항공기 자료(정사영상, 지형고도모델)와 RTK-GPS 관측을 통하여 조류로 네트워크, 조류로 밀도도, 지형고도 등의 지형정보를 추출하였다. 분석한 입도 분포와 지형인자 및 스펙트럼 특성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대축척의 표층 퇴적상 분류 가능성과 효과적인 분류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4639
Bibliographic Citation
한국습지학회 2016 학술발표회, pp.1, 2016
Publisher
한국습지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