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주변해역과 울릉도 연안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분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민주 -
dc.contributor.author 강정훈 -
dc.contributor.author 권오윤 -
dc.contributor.author 추서휘 -
dc.date.accessioned 2020-07-15T13:53:06Z -
dc.date.available 2020-07-15T13:53:06Z -
dc.date.created 2020-02-11 -
dc.date.issued 2017-11-02 -
dc.identifier.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3662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는 동해의 독도 주변해역과 울릉도 연안에서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구조와 분포를 파악하고자 한다. 동해는 수심이 깊고 강한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해역으로 수괴의 강세에 따라 계절적으로 위치를 달리하며 용승, 수직혼합, 심층수 형성, 열염분 순환과 같은 다양한 물리환경 특성을 가진다. 2017년 춘계에 독도 주변해역(6 정점)과 울릉도 연안 (6 정점) 표층혼합층(~30 m)에서 동물플랑크톤 표준네트(입구 직경: 60 cm, 망목: 200 μm)를 사용하여 수직 예인하였다. 춘계 표층혼합층의 수직 수온은 독도 주변 해역에서 평균 16.47℃ (11.31 &#8211 17.82℃), 울릉도 연안은 평균 16.67℃(16.26 &#8211 16.83℃)다. 독도 동물플랑크톤 평균개체 수는 독도 주변해역이 6,558 inds. m-3(2,136 - 10,648 inds. m-3)으로 울릉도 연안 3,309 inds. m-3(917-7,668 inds. m-3)에 비해 뚜렷하게 높게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은 만각류 (cirripedias), 유형류 (appendicularians), 요각류 (copepods), 십각류(decapods), 단각류 (amphipods), 유생류, 다모류 (polychaetaes)가 출현하였다. 요각류가 독도 주변해역과 울릉도에서 전체 출현양의 각 94.6%와 70.8%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각류의 종 조성은 독도 주변해역에서 Oithona spp. (28.7%), Paracalanus spp. (26.9%), Pseudocalanus spp. (22.6%)이고, 울릉도 연안에서 Pseudocalanus spp. (25.9%), Clausocalanus spp. (25.8%), Oithona spp. (20.1%)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춘계의 독도 주변해역과 울릉도 연안의 표층혼합층의 환경특성에 따라 동물플랑크톤 종조성과 개체수의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과 같은 다양한 물리환경 특성을 가진다. 2017년 춘계에 독도 주변해역(6 정점)과 울릉도 연안 (6 정점) 표층혼합층(~30 m)에서 동물플랑크톤 표준네트(입구 직경: 60 cm, 망목: 200 μm)를 사용하여 수직 예인하였다. 춘계 표층혼합층의 수직 수온은 독도 주변 해역에서 평균 16.47℃ (11.31 &#8211 17.82℃), 울릉도 연안은 평균 16.67℃(16.26 &#8211 16.83℃)다. 독도 동물플랑크톤 평균개체 수는 독도 주변해역이 6,558 inds. m-3(2,136 - 10,648 inds. m-3)으로 울릉도 연안 3,309 inds. m-3(917-7,668 inds. m-3)에 비해 뚜렷하게 높게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은 만각류 (cirripedias), 유형류 (appendicularians), 요각류 (copepods), 십각류(decapods), 단각류 (amphipods), 유생류, 다모류 (polychaetaes)가 출현하였다. 요각류가 독도 주변해역과 울릉도에서 전체 출현양의 각 94.6%와 70.8%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각류의 종 조성은 독도 주변해역에서 Oithona spp. (28.7%), Paracalanus spp. (26.9%), Pseudocalanus spp. (22.6%)이고, 울릉도 연안에서 Pseudocalanus spp. (25.9%), Clausocalanus spp. (25.8%), Oithona spp. (20.1%)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춘계의 독도 주변해역과 울릉도 연안의 표층혼합층의 환경특성에 따라 동물플랑크톤 종조성과 개체수의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
dc.description.uri 2 -
dc.language Korean -
dc.publisher 한국해양학회 -
dc.relation.isPartOf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 -
dc.title 독도 주변해역과 울릉도 연안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분포 -
dc.title.alternative Distribution of mesozooplankton near Dokdo and Ulleung Island of the East Sea, Korea -
dc.type Conference -
dc.citation.conferencePlace KO -
dc.citation.endPage 127 -
dc.citation.startPage 127 -
dc.citation.title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김민주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강정훈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권오윤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추서휘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 pp.127 -
dc.description.journalClass 2 -
Appears in Collections:
South Sea Research Institute > Risk Assessment Research Center > 2. Conference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