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구 기수역 울타리섬 사이 부유물질 유출입 플럭스 및 엽록소(chlorophyll a) 생체량 특성

Title
낙동강 하구 기수역 울타리섬 사이 부유물질 유출입 플럭스 및 엽록소(chlorophyll a) 생체량 특성
Author(s)
이준호; 우한준; 정갑식; 손영백
KIOST Author(s)
Lee, Jun-Ho(이준호)Woo, Han Jun(우한준)Son, Young Baek(손영백)
Alternative Author(s)
이준호; 우한준; 정갑식; 손영백
Publication Year
2018-04-17
Abstract
부산광역시 낙동강 하구 기수역(brackish water zone) 울타리섬(barrier islands) 사이 주입구(총 4정점)에서 조석, 부유물질(퇴적물) 유·출입 플럭스, 엽록소(chlorophyll a)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biomass) 특성 파악을 위해 2017년 8월 A정점(눌차도와 진도우 사이), 2016년 8월 B정점(진우도와 신자도 사이), 2015년 8월 C정점(신자도와 도요등 사이) 및 2017년 8월 D정점(맹금머리등 주변 수로)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항목은 1조석주기(13시간) 동안 음향 도플러 유속계 일종인 유향·유속계(Seaguard recording current meter SW RCM) 이용 조석 특성 데이터 취득, 부유퇴적물(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PM) 관측 및 전처리 작업 후 아세톤 추출법 이용 분광광도계의 의한 엽록소(chlorophyll a) 생체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SPM 이동은 농도가 조석에 따라 변화가 크더라도 최종적으로 조류의 영향이 제거된 잔류유속(residual flow Rf)에 의해 이동되고 이에 따라 수층별(상·중·하층) Rf 분포에 의해 좌우된다. 수층별 계산된 Rf는 관측정점에서 육지 담수(북쪽)로 향하는 유입(양, +)의 방향과 외해 해수(남쪽)로 향하는 유출(음, -)의 방향으로 나타내었다. 그 외 수층별 유출입량 플럭스(net suspended sediments flux Fs) 및 1조석주기(13시간) 동안 순 부유 퇴적물이동량(net suspended sediments transport Qs)을 계산 하였다. 부유물질 유·출입 플럭스가 가장 높았던 정점은 신자도와 도요등 사이 유입구(정점 C)로 Rf는 상층 – 31.6 cm·s-1, 중층 – 1.3 cm·s-1, 저층 +9.8 cm·s-1 이며, Qs는 1,698.4 kg·m-1로 서서남 방향(231.9°)으로 유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s는 상층 – 2.08*1 진도우 사이), 2016년 8월 B정점(진우도와 신자도 사이), 2015년 8월 C정점(신자도와 도요등 사이) 및 2017년 8월 D정점(맹금머리등 주변 수로)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항목은 1조석주기(13시간) 동안 음향 도플러 유속계 일종인 유향·유속계(Seaguard recording current meter SW RCM) 이용 조석 특성 데이터 취득, 부유퇴적물(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PM) 관측 및 전처리 작업 후 아세톤 추출법 이용 분광광도계의 의한 엽록소(chlorophyll a) 생체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SPM 이동은 농도가 조석에 따라 변화가 크더라도 최종적으로 조류의 영향이 제거된 잔류유속(residual flow Rf)에 의해 이동되고 이에 따라 수층별(상·중·하층) Rf 분포에 의해 좌우된다. 수층별 계산된 Rf는 관측정점에서 육지 담수(북쪽)로 향하는 유입(양, +)의 방향과 외해 해수(남쪽)로 향하는 유출(음, -)의 방향으로 나타내었다. 그 외 수층별 유출입량 플럭스(net suspended sediments flux Fs) 및 1조석주기(13시간) 동안 순 부유 퇴적물이동량(net suspended sediments transport Qs)을 계산 하였다. 부유물질 유·출입 플럭스가 가장 높았던 정점은 신자도와 도요등 사이 유입구(정점 C)로 Rf는 상층 – 31.6 cm·s-1, 중층 – 1.3 cm·s-1, 저층 +9.8 cm·s-1 이며, Qs는 1,698.4 kg·m-1로 서서남 방향(231.9°)으로 유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s는 상층 – 2.08*1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3432
Bibliographic Citation
2018 춘계 지질과학기술 공동 국제학술대회, pp.358, 2018
Publisher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