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하계 남해안의 식물플랑크톤 분포특성 및 Alxandrium affine 적조 발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임영균 -
dc.contributor.author 백승호 -
dc.contributor.author 최근형 -
dc.date.accessioned 2020-07-15T12:33:50Z -
dc.date.available 2020-07-15T12:33:50Z -
dc.date.created 2020-02-11 -
dc.date.issued 2018-04-27 -
dc.identifier.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3409 -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17년 6월부터 9월까지 여름철 통영-여수-고흥에 걸친 남해안의 수환경 요인과 함께 식물플랑크톤 군집변화를 파악하였다. 조사 기간동안의 표층수온과 염분의 범위는 17.4℃-27.9℃, 염분은 30.8-34.15 의 범위로 나타나며, 전반적으로 시간이 갈수록 수온은 증가하고, 염분은 강우의 영향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층 영양염의 수평분포에서 질산염의 농도는 0.05-8.14 &micro M 의 범위 (평균 1.19 ± 1.00 &micro M), 암모니아의 농도는 0.01-9.5 &micro M (평균 1.11±1.64 &micro M), 인산염 농도는 0.01-0.73 &micro M (평균0.14 ± 0.10 &micro M), 규산염의 농도는 0.64-29.25 &micro M (평균 6.69±3.67 &micro M)의 분포를 보였다. 조사 기간 동안 Chlorophyll a 의 농도는 0.17-6.64 mg m-3 범위로 나타났으며, 고흥 외측해역에서 평균 0.74 mg m-3로 가장 낮고, 통영남쪽-거제 남서쪽 해역에서 평균 2.05 mg m-3로 가장 높은 Chlorophyll a 값을 보였다. 통영주변정점에서 규조류는 6월 19일(63.4%), 7월 3일(93.7%), 7월 17일(91.9%), 8월1일(71.5%), 9월 13일(77.8%)로 8월 14일(49.7%)로 각각 우점하였다. 반면 고흥 주변정점에서 규조류는 7월 3일(75.1%), 7월 17일(77.3%), 9월 13일(58.7%) 에 50%가 넘는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다른 조사시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구성비를 보였다. 특히 8월 1일 고흥 주변해역에서 와편모조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이 3.0 x 104cell mL-1로 높게 관찰되었다. 또한 와편모조류 Alexandrium affine는 고흥 K7 정점 표층 (8.7x104cell mL-1)뿐만 아니라 고흥해역의 K2, K6의 중층에서 각각 3.2 x104cell mL-1, 4.1 x 104cell mL-1,통영 주변해역에서는 중층에이 갈수록 수온은 증가하고, 염분은 강우의 영향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층 영양염의 수평분포에서 질산염의 농도는 0.05-8.14 &micro M 의 범위 (평균 1.19 ± 1.00 &micro M), 암모니아의 농도는 0.01-9.5 &micro M (평균 1.11±1.64 &micro M), 인산염 농도는 0.01-0.73 &micro M (평균0.14 ± 0.10 &micro M), 규산염의 농도는 0.64-29.25 &micro M (평균 6.69±3.67 &micro M)의 분포를 보였다. 조사 기간 동안 Chlorophyll a 의 농도는 0.17-6.64 mg m-3 범위로 나타났으며, 고흥 외측해역에서 평균 0.74 mg m-3로 가장 낮고, 통영남쪽-거제 남서쪽 해역에서 평균 2.05 mg m-3로 가장 높은 Chlorophyll a 값을 보였다. 통영주변정점에서 규조류는 6월 19일(63.4%), 7월 3일(93.7%), 7월 17일(91.9%), 8월1일(71.5%), 9월 13일(77.8%)로 8월 14일(49.7%)로 각각 우점하였다. 반면 고흥 주변정점에서 규조류는 7월 3일(75.1%), 7월 17일(77.3%), 9월 13일(58.7%) 에 50%가 넘는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다른 조사시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구성비를 보였다. 특히 8월 1일 고흥 주변해역에서 와편모조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이 3.0 x 104cell mL-1로 높게 관찰되었다. 또한 와편모조류 Alexandrium affine는 고흥 K7 정점 표층 (8.7x104cell mL-1)뿐만 아니라 고흥해역의 K2, K6의 중층에서 각각 3.2 x104cell mL-1, 4.1 x 104cell mL-1,통영 주변해역에서는 중층에 -
dc.description.uri 2 -
dc.language Korean -
dc.publisher 환경생물학회 -
dc.relation.isPartOf 제2회 응용생태공학회 한국환경생물학회 공동학술대회 -
dc.title 2017년 하계 남해안의 식물플랑크톤 분포특성 및 Alxandrium affine 적조 발생 -
dc.type Conference -
dc.citation.conferencePlace KO -
dc.citation.endPage 61 -
dc.citation.startPage 61 -
dc.citation.title 제2회 응용생태공학회 한국환경생물학회 공동학술대회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임영균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백승호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제2회 응용생태공학회 한국환경생물학회 공동학술대회, pp.61 -
dc.description.journalClass 2 -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