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편모조류 Alexandrium affine 적조발생에 미치는 Cochlodinium polykrikoides 경쟁관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임영균 -
dc.contributor.author 백승호 -
dc.contributor.author 최근형 -
dc.date.accessioned 2020-07-15T12:33:49Z -
dc.date.available 2020-07-15T12:33:49Z -
dc.date.created 2020-02-11 -
dc.date.issued 2018-04-27 -
dc.identifier.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3408 -
dc.description.abstract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와편모조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가 매년 발생하여 수산업의 막대한 피해를 유발한다. 하지만 2017년에는 특이적으로 C. polykrikoides의 적조는 발생하지 않았고, 와편모조류 Alexandrium affine의 적조가 통영 인근해역에서 발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하계 A. affine 적조발생에 관해 보고된 적이 없어, 상대적으로 본 종의 생리생태적인 특성에 관한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특히, 현장자료를 바탕으로 왜 C. polykrikoides의 적조대신 A. affine의 적조가 발생하였는지 명확한 이유를 제시할 수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 대발생할 당시의 A. affine를 분리 배양하여, C. polykrikoides 와의 온도구배에 따른 경쟁실험을 통하여 어떤 종이 우위를 점하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온도가 22.5℃, 25℃, 27.5℃에 따른 A. affine와 C. polykrikoides의 경쟁구도의 차이는 명확하지 않았다. 반면 초기 A. affine의 개체수가 고밀도로 유지된 환경에서 C. polykrikoides의 농도구배별로 접종한 결과, 낮은 C. polykrikoides의 개체수는 적응하지 못하고, 사멸 또는 낮은 개체수를 유지하였다. 마찬가지로 C. polykrikoides의 고밀도 환경하에서 A. affine를 농도구별별로 접종한 결과, A. affine 역시 적응하지 못하고 낮은 개체수를 유지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초기 개체수는 두 종간의 경쟁관계에서 우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 파악되었다. 실제 현장에서도 C. polykrikoides 종이 8월 중순에 높은 밀도를 유지 할 수 없었던 것은 7월말 A. affine가 중층을 중심으로 극히 높은 밀도를 유지하여 종간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였기 때문에, 2017년 C. po서 발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하계 A. affine 적조발생에 관해 보고된 적이 없어, 상대적으로 본 종의 생리생태적인 특성에 관한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특히, 현장자료를 바탕으로 왜 C. polykrikoides의 적조대신 A. affine의 적조가 발생하였는지 명확한 이유를 제시할 수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 대발생할 당시의 A. affine를 분리 배양하여, C. polykrikoides 와의 온도구배에 따른 경쟁실험을 통하여 어떤 종이 우위를 점하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온도가 22.5℃, 25℃, 27.5℃에 따른 A. affine와 C. polykrikoides의 경쟁구도의 차이는 명확하지 않았다. 반면 초기 A. affine의 개체수가 고밀도로 유지된 환경에서 C. polykrikoides의 농도구배별로 접종한 결과, 낮은 C. polykrikoides의 개체수는 적응하지 못하고, 사멸 또는 낮은 개체수를 유지하였다. 마찬가지로 C. polykrikoides의 고밀도 환경하에서 A. affine를 농도구별별로 접종한 결과, A. affine 역시 적응하지 못하고 낮은 개체수를 유지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초기 개체수는 두 종간의 경쟁관계에서 우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 파악되었다. 실제 현장에서도 C. polykrikoides 종이 8월 중순에 높은 밀도를 유지 할 수 없었던 것은 7월말 A. affine가 중층을 중심으로 극히 높은 밀도를 유지하여 종간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였기 때문에, 2017년 C. po -
dc.description.uri 2 -
dc.language Korean -
dc.publisher 환경생물학회 -
dc.relation.isPartOf 제2회 응용생태공학회 한국환경생물학회 공동학술대회 -
dc.title 와편모조류 Alexandrium affine 적조발생에 미치는 Cochlodinium polykrikoides 경쟁관계 -
dc.type Conference -
dc.citation.conferencePlace KO -
dc.citation.endPage 111 -
dc.citation.startPage 111 -
dc.citation.title 제2회 응용생태공학회 한국환경생물학회 공동학술대회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임영균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백승호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제2회 응용생태공학회 한국환경생물학회 공동학술대회, pp.111 -
dc.description.journalClass 2 -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