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환경법 관련 법 이론에 대한 한국의 시각

Title
국제환경법 관련 법 이론에 대한 한국의 시각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gal Theory related to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Author(s)
이창열
KIOST Author(s)
Lee, Chang Youl(이창열)
Alternative Author(s)
이창열
Publication Year
2018-07-03
Abstract
국제환경법은 1992년 생물다양성협약, 1992년 기후변화골격협약과 후속 의정서와 같은 국제조약, 그리고 1972년 스톡홀름 선언, 1982년 세계자연헌장, 1992년 리우선언과 같은 결의, 선언, 지침, 행동계획과 같은 soft law를 통하여 짧은 기간 많은 발전을 이루어온 분야다. 지구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통된 인식은 지구환경의 보호에 관한 문제와 국가책임에 관한 논쟁을 촉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사회는 국제환경법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많은 법 원칙 및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국제환경법 관련 법 원칙 및 접근법은 국제환경법의 발전과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국제환경법 관련 법 원칙 및 접근법은 법적 구속력과 구체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국제법평론회 창립 20주년을 맞이하여 국제법 평론에서 국제환경법 분야에 있어 법 이론의 발전 양상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연구 범위가 국제법평론의 논문으로 제한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일반화 할 수 없다는 점에 한계는 존재한다.루어온 분야다. 지구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통된 인식은 지구환경의 보호에 관한 문제와 국가책임에 관한 논쟁을 촉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사회는 국제환경법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많은 법 원칙 및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국제환경법 관련 법 원칙 및 접근법은 국제환경법의 발전과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국제환경법 관련 법 원칙 및 접근법은 법적 구속력과 구체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국제법평론회 창립 20주년을 맞이하여 국제법 평론에서 국제환경법 분야에 있어 법 이론의 발전 양상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연구 범위가 국제법평론의 논문으로 제한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일반화 할 수 없다는 점에 한계는 존재한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3193
Bibliographic Citation
국제법평론회 하계학술회의, 2018
Publisher
국제법평론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